지난 5일(현지시간) 열린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긴급 회의 모습./사진=뉴스1DB
지난 28일 북한의 제2차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긴급회의가 소집될 전망이다.
미국 CBS방송은 29일(현지시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가 (북한의 ICBM 발사 관련) 오는 31일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비공식적으로 요청했다”고 전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북한의 도발 직후 새벽 1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한 자리에서 안보리 긴급회의를 요청한 바 있다.


다만 이번 안보리 회의가 반드시 열릴지는 미지수다. 사안의 엄중함을 고려할 때 안보리 긴급회의 여부와 구체적인 일정은 신중한 내부 조율을 거쳐 결정되기 때문이다. 
아예 유엔 측은 미국의 안보리 회의 개최 요청이 없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유엔 관계자는 일부 기자들에게 "미국 측이 31일 안보리 긴급회의를 요청했다는 CBS 보도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안다"면서 "(세부일정과 관련해) 현재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안보리 긴급회의가 열리면 미국과 서방세계를 중심으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규탄하고 구체적인 국제사회 대응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복수의 미 외교당국자는 CBS방송에 "국제사회 차원의 안보리 제재 명단에 '김정은' 실명을 명시하자는 게 미국의 입장"이라며 "동시에 대북 여행금지 조치도 포함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미 재무부는 지난해 7월 북한 인권 침해자들을 새로 포함한 특별지정제재 대상(SDN) 명단을 게재하면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름을 명시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