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항동 한양수자인 와이즈파크 조감도. /사진=한양
구로구·영등포구·동대문구 등 서울 내에서 다소 저평가됐던 지역들이 새로운 주거촌으로 탈바꿈 중이다. 각종 개발사업과 생활인프라가 확충되고 한동안 공급이 끊겼던 새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며 과거의 오명을 벗고 집값도 꿈틀댄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구로구 일대는 한때 구로공단으로 불리는 공장 밀집지대로서 낙후된 이미지 강하다.

1960년대에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돼 봉제·섬유·가발 등 수출주도형 기업의 공장이 모여 있던 이곳은 정부의 구로산업단지 첨단화계획에 따라 2000년대에 들어 지식산업 중심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2004년에는 구로공단역도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이름을 바꾸는 등 구로구 일대는 공장지대가 아닌 정보기술(IT) 산업 등 벤처기업들이 속속 모여들며 대표적인 업무지구로 자리매김 했다.


집값 역시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구로디지털단지 개발사업이 한창이던 2005년 3.3㎡당 평균 818만원에 불과했던 구로구 아파트 가격은 기업 입주가 대폭 늘어남에 따라 2006년에는 1051만원까지 상승했다. 이후 서부간선도로 지하화사업, 항동지구 개발 등의 호재로 올 상반기에는 1296만원까지 올랐다.

특히 구로구는 최근 항동지구·천왕지구 등 새로운 택지지구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라 부동산 수요자의 관심을 모은다. 항동지구와 천왕지구는 부천 옥길지구와 함께 서울 서남부권역을 대표하는 주거중심지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영등포구 역시 문래동, 영등포동 등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제철과 방직 공장이 즐비했던 공업지역이었다. 특히 영등포역 일대는 집창촌과 노숙자 수용시설까지 위치해 낙후된 이미지를 형성했다. 하지만 1999년 이 일대를 영등포 부도심 지구단위계획 구역으로 지정해 개발을 시작했고 2009년에는 옛 경방공장 부지를 개발한 초대형 복합쇼핑몰 타임스퀘어가 개관해 지역 분위기는 크게 반전됐다.


실제로 타임스퀘어가 착공에 들어간 2003년에는 3.3㎡당 평균 아파트값이 전년 대비 109만원 상승한 994만원까지 뛰었고 준공 해인 2009년에는 1724만원을 기록했다. 최근에는 서울시가 영등포역 일대 78만6000㎡를 도시재생활성화 서남권 거점지역으로 선정해 5년간 최대 500억원을 투입하기로 하는 등 추가 호재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에는 집값이 1791만원까지 뛰었다.

동대문구는 이른바 ‘청량리 588’로 불리던 집창촌이 자리했던 곳으로 서울의 대표 낙후지역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청량리재정비촉진지구, 전농·답십리재정비촉진지구, 이문·휘경재정비촉진지구 등의 도시재생사업에 힘입어 2007년에 3.3㎡당 평균 1113만원이던 집값이 올 상반기에는 280만원 상승한 1393만원을 기록하며 개발 기대감에 들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낙후 지역으로 인식되던 지역이 현재는 도시재생사업 등으로 기존 이미지를 반전시켰다”며 “집값도 빠른 속도로 올라 부동산시장 수요자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