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진 중소기업벤처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1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는 11일 "복합쇼핑몰 등 신규 유통업태에 대한 규제 방안을 마련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는데 적극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후보자는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지명 발표 이후 언론에서 제기한 저에 대한 각종 의혹과 문제점들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정중히 사과드린다"며 한 점의 의혹도 없이 성실히 소명할 것을 공언했다.

그는 "임차 상인의 안정적인 영업을 위한 임대차 계약 보호 확대도 추진하겠다"며 "특히 소상공인의 현황, 실태, 결과 등을 계량화, 지수화해 효과적인 정책 수립은 물론 집행 이후의 면밀한 분석·평가를 통해정책의 실효성을 배가시켜 나가겠다"고 주장했다. 

박 후보자는 규제 혁파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며 "유망 혁신 창업 기업들이 국내외 인수합병(M&A)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중소벤처기업이 대학과 국가출연연구소의 연구 시설과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 허브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히든 챔피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벤처기업의 팁스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펀더멘탈 혁신자금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다는 것이 그의 복안이다.


박 후보자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의해 생산의 혁신이 일어나 독일처럼 기업이 국내로 유턴하는 환경을 마련하겠다"면서 "전자상거래, 직구, 역직구 등의 소비 형태가 바뀌는 국경 없는 경쟁의 시대에 걸맞도록 공유경제와 지식 서비스업 확대를 통해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판로를 지원하겠다"고 제시했다.

그는 "해외 동포를 활용한 수출 목표‧전략도 마련해 중소벤처기업이 새로운 시장을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최근의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증가 등심화되는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 간 신뢰에 기반한 민간 자율적 동반 성장 문화도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역설했다.

박 후보자는 불공정 행위 근절을 위해 "기술 탈취 기업에게는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평판 측면에서도 심대한 타격을 입을 수 있도록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해 나가겠다"며 "상공인 정책과 관련해서는 매출, 고용 성과 등이 뛰어난 혁신형 소상공인을 집중 육성해 소상공인도 경제 성장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대기업과 벤처기업에 근무하고 대학 교수, 기술지주회사 대표를 맡으면서 현장에서 느끼고 고민했던 부분들을 정책에 충실하게 접목시켜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