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지진 1년. 사진은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임한별 기자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2일 경주 지진 1년을 맞아 경북 경주시를 방문해 원전 안전을 점검하고 지역 주민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백 장관은 이 자리에서 올해 말까지 주민·지방자치단체 참여 소득창출형 사업, 원전산업 중소·중견기업 지원방안 등이 포함된 에너지 전환 로드맵 발표 계획도 공개했다.
이번 경주 방문은 원전 밀집 지역인 경주에서 지난해 지진 이후 600차례 이상 여진이 지속되고 있어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원전 안전을 직접 점검하고 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해 이뤄졌다.

백 장관은 지질자원연구원에서 진행 중인 경주 지역 단층 조사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중규모 이상의 지진이 한반도에서 언제든 가능하고 더 큰 지진의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며 "원전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서 지진 등에 철저히 대비하는 한편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원전 안전에 대한 보다 엄격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독일 원자로 안전전문위원회의 지적에 "독일 사례를 고려해 에너지 전환 정책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국민과 지역 주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원전 안전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백 장관은 지역 주민과의 간담회에서는 원전 지역이 실질적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주민·지자체 소득창출형 사업을 공동으로 마련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정부의 사용후핵연료 반출 약속이 이행되지 않은 데 대해서는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과거 정부가 약속을 이행하지 못한 점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며 "재공론화를 통해 주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풀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백 장관은 간담회 직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시설을 방문해 방폐장 건설 과정에서 부지 안전성 논란이 있었던 만큼 더욱 철저한 내진 대책을 마련해 이행해줄 것을 주문했다.

그는 "원전의 단계적 감축 등 에너지 전환에 따른 후속 조치로서, 지역·산업 보완 대책을 포함한 에너지 전환 로드맵을 올해 내 마련·발표하겠다"고 역설했다.

로드맵에는 ▲주민·지자체 참여 소득창출형 사업 ▲원전 운영 안전 감시 기능 강화 ▲원전산업 중소·중견기업 지원방안 ▲중장기 한국수력원자력 사업 구조 개편 등이 담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