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근속수당 인상을 요구하며 삭발식을 열었다. /사진=뉴시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공무원 임금 80% 수준 달성을 위해 근속수당 1년 5만원 인상을 요구하며 삭발식을 열었다. 또 김상곤 교육부장관과 각 시도교육감에 대해서는 직접 집단교섭에 임해 노조 요구안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학비노조)는 19일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삭발 행사를 가졌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김상곤 교육부장관의 첫 업무지시인 '학교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장관과 교육감이 직접 나서서 해결하라"고 요구했다.

지난달 18일부터 이뤄진 집단교섭에서 학비노조는 근속수당을 1년에 5만원으로 인상하는 등의 요구안을 교육부·교육청에 제안했다. 그러나 모두 5회에 걸친 집단교섭에서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박금자 학비노조 위원장은 "집단교섭을 먼저 제안한 교육부는 내년도 최저임금이 오르자 임금체계를 변경해 임금을 미리 깎으려 하고 있다. 임금체계 개편안에 동의하지 않으면 처우개선은 조금도 해줄 수 없다는 막말까지 한다"고 주장했다.

또 "문재인 정부가 탄생한 이후 언론에는 비정규직을 살리겠다고 홍보하고 뒤로는 비정규직을 두 번 죽이는 행태를 묵과할 수 없다. 무기한 총파업을 결의하기 전에 학교에 밀어닥칠 혼란을 막아내고자 먼저 집단 삭발에 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기옥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위원장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교육직 공무원처럼 대우해달라는 것이 아니라 한 해가 지날수록 월급이 늘어나는 맛을 느끼자는 소박한 요구를 하는 것 뿐이다. 교육 관료들은 노동자들의 절박한 요구에 곧 있을 교섭에서 전향적인 안으로 화답하라"고 촉구했다.


기자회견 이후 이어진 삭발식에는 박금자 위원장을 비롯한 노조 집행부, 각 지역 지부장 등 모두 17명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