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 메달이 21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사진=뉴스1

평창 동계올림픽 메달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2018 평창 동계올림픽·동계패럴림픽 대회 조직위원회는 21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메달 공개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도종환 문체부 장관, 이희범 조직위원장, 송석두 강원도행정부지사, 역대 올림픽 메달리스트 등이 참석했다. 공개행사는 서울과 뉴욕(현지 20일 20시30분)에서 동시 개최됐는데,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열린 행사에는 방미 일정을 소화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했다.

디자이너 이석우씨가 디자인한 평창 동계올림픽 메달은 한글을 모티브로 제작됐다. 세계에서 가장 완성도 높은 문자 체계로 평가받는 ‘한글’ 모양을 메달 디자인에 활용했다.

구체적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이공일팔’의 자음인 ‘ㅍㅇㅊㅇㄷㅇㄱㅇㄹㄹㅁㅍㄱㅇㄱㅇㅇㄹㅍㄹ’을 메달 측면에 새겼으며, 선수들의 노력과 인내의 모습은 사선으로 표현됐다. 또 메달과 리본이 우리 문화 상징인 ‘한글’과 전통 ‘한복’을 모티브로, 전체적으로 한국적인 세련미를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설명이다.


이석우 디자이너는 “평창올림픽을 준비하는 세계 각 나라 선수의 열정과 노력을, 한글과 함께 어떻게 아름답게 표현할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 특히, 기존 메달과 다른 평창만의 독창성을 찾고 싶어 한글을 활용했고, 메달 옆면의 ‘한글’을 활용한 디자인도 평창만의 주요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평창올림픽 메달은 모두 259세트가 제작된다. 이 가운데 222세트는 102개 세부종목 입상자들에게 수여되고, 나머지는 동점자 발생 대비용(5세트)과 국내외 전시용(국제올림픽위원회 25세트, 국내 7세트)으로 활용되며, 제작은 최근 후원 참여 의사를 밝힌 한국조폐공사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