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 시대, 청년층의 건강상태도 나빠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일부 질환 환자 증가율이 20대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20일 최근 5년간(2012~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통계정보에서 10~59세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일부 질환의 환자 증가율이 2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경추질환의 경우 20대 환자수가 2012년 12만4393명에서 지난해 15만8848명으로 4년 사이 27.7%나 늘었다. 30대(13.6%), 50대(10.0%), 10대(9.4%), 40대(6.2%) 등과 비교했을 때 증가폭이 가장 컸다.


척추질환 역시 20대 환자 증가율은 같은 기간 13.0%로, 50대(7.3%), 30대(4.0%), 40대(3.3%) 10대(1.8%) 등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학업 취업준비 기간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스트레스, 잘못된 자세 등으로 청년 근골격계질환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층의 정신건강 역시 나빠지는 추세가 뚜렷하다. 공황장애는 20대 환자가 최근 4년 사이 65.0%나 크게 늘었다. 50대(46.0%), 40대(41.3%), 10대(38.8%), 30대(37.0%)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다.

특히 우울증과 알코올중독은 다른 연령대에서 감소한 것과 달리 20대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우울증의 경우 4년간 22.2%가 증가했고, 알코올중독증은 20.9%의 환자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같은 20대 청년 정신건강 악화는 학업과 취업준비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감 증가 등 최근 경제·사회적인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건강 악화의 또다른 요인으로는 건강검진 사각지대도 지목된다. 청년층의 경우 지역세대주가 아니거나 취업을 못해 직장가입자가 아니면 일반건강검진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윤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반건강검진 대상에서 제외되는 20~39세 건강보험 피부양자는 올해 현재 418만4000여명에 달한다. 청년실업이 장기화되고 있는 영향이다.

윤 의원은 "현행 건강검진 제도는 모든 국민에게 건강검진을 실시해야 하는 국가의 의무를 방관하고 있다. 만 25세 또는 30세에 생애주기 건강검진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