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근로자 1인당 평균 임금은 351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격차는 지난해에 비해 조금 줄었다.
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7년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7월 상용근로자 5인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51만8000원으로, 전년동월 341만5000원보다 3.0%(10만3000원) 늘었다.
중소규모 기업 임금 증가폭이 대규모 기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 300인 이상 대규모기업 근로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492만8000으로 전년동월 482만6000원에 비해 2.1% 늘었다.
상용 5~300인 미만 중소규모기업 근로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19만5000원으로, 전년동월(307만3000원)에 비해 4.0% 증가했다. 그 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 평균 임금격차는 지난해 7월 175만3000원에서 올해 7월 173만3000원으로 조금 줄었다.
근로 형태별로 보면 상용근로자 평균임금은 369만8000원으로 1년전(360만5000원)보다 2.6%, 임시·일용근로자는 155만4000원으로 1년전(148만2000)보다 4.9% 늘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 격차는 지난해 212만3000원에서 올해 214만4000원으로 조금 늘었다.
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590만8000원으로 평균 임금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527만5000원),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74만7000원), 광업(432만5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201만7000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10만3000원) 등은 평균 임금이 낮았다.
7월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1.6시간으로, 전년동월(174.1시간) 대비 2.5시간(1.4%) 줄었다. 통계청은 근로일수(20.5일)가 전년동월대비 0.2일(1.0%)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