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년7개월에 접어든 유제복 코레일유통 사장이 위기다. 공공부문 노조에게 ‘적폐’로 낙인 찍힌 데다 국정감사에서는 계약이 끝난 철도역사 상인과 결별이 매끄럽지 못했다는 책임이 부각돼서다.

유 사장은 지난 1979년 KT&G의 전신인 전매청 기술사무관을 시작으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공공기관 조직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았다. 퇴직 후에는 중소기업 현장에서 경영지도위원으로 활약하는 등 소통능력을 인정받았지만 코레일유통 대표이사 취임 이후에는 웃지 못했다.


유제복 코레일유통 대표이사. /사진=코레일유통 홈페이지

지난 7월18일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는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명의 ‘적폐 공공기관장’을 발표하며 여기에 유 사장을 포함 시켰다. 국정농단 세력에 부역한 낙하산 인사이자 전 정권의 성과연봉제 도입 찬성으로 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했다는 이유에서였다.
유 사장은 근거 없는 낙인이라며 반발했지만 난관은 계속됐다. 그의 취임 전부터 자행된 명도소송을 통한 철도역사 소상공인 강제퇴거행위가 불거졌기 때문. 그는 사전협상 같은 최소한의 배려 없이 소송을 통해 퇴거가 이뤄졌다는 지적과 마주했다.


강제 퇴거 대부분이 그의 취임 전에 일어났지만 지난해 3월 취임 이후에도 상생을 위한 노력을 보이지 않은 만큼 유 사장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적폐청산 기조와 맞물려 약자와 노동자의 목소리가 강화된 상황에서 유 사장의 임기는 절반도 채 남지 않았다. 상생경영, 소통강화를 통해 그동안 결여된 공공성을 회복하는 과제가 그에게는 급선무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11호(2017년 10월25~31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