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한별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 인상했다. 기존 1.00~1.25%에서 1.25~1.50%로 올라 우리나라 기준금리인 1.50%와 같은 수준이 됐다.
미 연준은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내년도 3차례 금리인상을 예고했다. 내년도 한미 간 금리 역전 가능성도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관측이 나온다.

문제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우리나라 시장금리 인상이다. 은행은 시장금리 상승분을 대출금리에 반영한다. 미국이 내년에 기준금리를 3∼4차례 올리면 대출금리 상승세는 가팔라 질 수밖에 없다.


특히 우리 경제성장을 짓누르는 가계부채 뇌관이 터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신용잔액은 지난 9월말 기준 가계신용잔액은 1419조1000억원으로 2014년 9월 말 이래 362조7000억원(34.3%) 늘었다. 여기에 10월 금융권 전반의 가계대출 증가액 9조9000억원과 11월 10조1000억원을 더하면 1450조원에 육박한다.

한은이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계부채가 부실해질 수 있는 위험가구는 지난해 3월말 기준 전체 부채 보유가구의 11.6%에 달하는 126만3000가구다. 이들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전체 금융부채의 21.1%인 186조7000억원이나 된다.


부채상환 능력이 취약한 고위험가구는 전체 부채 보유가구의 2.9%인 31만5000가구로 이들이 보유한 부채는 전체 금융부채의 7.0%인 62조원으로 집계됐다. 대출금리 인상으로 대출 상환부담이 늘어 부채상환능력이 취약한 위험가구를 중심으로 연체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다.

금융당국은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취약가구의 대출상환 부담이 커지는 만큼 연체금리 산정체계 개편하고 원금상환 유예 등의 내용을 담은 취약·연체차주 지원방안을 이달 안에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