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련형 전자담배 유해성 최신 연구결과 발표
“식약처, 편파적 정보제공으로 흡연자 혼란 야기”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I)이 30일 서울 중구 을지로 롯데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 증기의 암 발생 가능성에 대한 영향을 연구한 최신 결과를 발표했다. PMI가 아이코스의 유해성 감소와 관련한 연구결과를 소개한 간담회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네번째다.
김병철 한국필립모리스 전무는 간담회 인사말에서 “우리는 ‘담배연기 없는 미래’라는 비전을 제시했고 그에 맞춰 아이코스를 선보였다”며 “담배의 해악을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최선책은 ‘금연’이지만 계속 흡연을 하려고 하거나 금연을 할 수 없는 흡연자를 위해 ‘대체재’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병철 한국필립모리스 전무가 30일 서울 중구 을지로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린 궐련형 전자담배(아이코스) 증기의 암 발생 가능성에 대한 영향을 연구한 최신 결과를 발표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허주열 기자
PMI는 담배연기 없는 미래를 위해 4조원 이상을 투입해 400여명의 과학자들이 체계적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날 간담회에선 담배 연기에 노출 시 폐기종과 폐암 발생에 민감한 종으로 개발된 A/J 마우스(실험용 쥐)를 여러 그룹으로 나눠 전체 생애주기인 18개월 동안 일반담배 연기, 아이코스 증기, 공기(대조군)에 각각 노출시킨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일반담배 연기에 노출된 그룹의 폐암종 발병률 및 다발성(개체당 종양 개수)은 공기에만 노출된 그룹에 비해 확연히 증가했다. 반면 아이코스 증기에 노출된 그룹의 폐암종 발병률 및 다발성은 일반담배 연기에 노출된 그룹보다 현저하게 낮았고 공기에만 노출된 그룹과 비슷했다.
PMI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아이코스 증기는 일반담배 연기에 비해 유전적 손상과 염증을 감소시키며 검증된 폐암 동물실험모델에서 폐암종의 발병률과 다발성을 감소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PMI가 아이코스의 유해성 감소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를 실시, 지속적으로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식품의약국(FDA), 영국정부의 독립 과학 자문기구인 독성학위원회(COT), 독일 연방위해평가원(BfR)을 비롯한 다수의 해외 정부유관기관 및 독립연구기관에서도 PMI의 연구결과와 부합하는 연구·검토결과를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고문을 지낸 데이비드 카얏 박사는 “영국 스티븐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아이코스는 아크릴로니트릴, 1·3-부타디엔 등 발암물질이 일반담배에 비해 99%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포름알데히드는 93.12%, 아세트알데히드는 86.94% 발암 위험도가 낮다”며 “FDA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말했다.
PMI 과학연구 최고책임자인 마누엘 피취 박사는 “아이코스는 중독성이 있고 무해한 것이 아니다. 최선의 선택은 금연”이라며 “하지만 아이코스는 흡연자가 일반담배를 계속 피우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선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왼쪽부터 필립모리스 김병철 전무, 마누엘 피취 박사, 데이비드 카얏 박사가 30일 서울 중구 을지로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허주열 기자
한편 한국필립모리스는 이날 지난 6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분석결과 발표에 대한 해명도 다시 한번 촉구했다. 당시 식약처는 많은 해외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궐련형 전자담배의 증기에 포함된 WHO 지정 유해물질 9가지의 함유량이 국내에서 판매되는 일반담배에 비해 평균 90%가량 적다는 것으로 확인했음에도 ‘타르는 담배규제의 확실한 근거가 아니며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WHO의 견해를 무시하고 타르 수치 비교에만 초점을 맞춰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김병철 전무는 “식약처 발표가 나온 이후 흡연자들이 편파적 정보로 혼란스러워했고 그 중 일부는 다시 일반담배로 돌아가기도 했다”며 “소비자는 정확하고 오해의 소지가 없는 정보를 제공받고 더 나은 선택을 할 권리가 있고 기업과 정부는 과학에 기초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