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치영 대표가 블록체인 산업 트렌드를 소개하고 있다. / 사진=두나무
“괄목할 만한 핵심 서비스의 등장과 함께 블록체인의 대중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그 미래를 상상하고 준비해 나가는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생태계의 주인공이 될 것이다.”
업비트를 운영 중인 두나무가 개발자 중심의 블록체인 컨퍼런스인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18(이하 UDC 2018)’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13일 개최했다.

UDC 2018 오프닝 기조연설을 맡은 송치영 두나무 의장은 블록체인 분야에서 개발자의 중요성을 적극 강조했다. 그는 두나무와 업비트 운영방향과 블록체인 기술의 현 주소와 가능성, 합리적 규제, 두나무의 역할 등을 주제로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송치형 의장은 “업비트는 더 안정적이고 규제 친화적인 거래소로 발전할 것이다. 이를 위해 거래 체결속도를 높이고, 더 향상된 지갑을 지원하려 노력하고 있다”며 “ISMS, ISO27001, 자산 예치현황 외부 감사 등을 도입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금융권 수준의 KYC(Know Your Customer), AML(Anti Money Laundering)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상장과 관리 프로세스 강화로 안전한 고객 자산 보호에 앞장서고 보이스피싱과 사기 ICO 등 범죄 예방을 위한 캠페인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 밝혔다.

송 의장은 “거래소의 핵심 경쟁력은 더 좋은 투자 기회(프로젝트)를 더 먼저 유치하는 것이다”며 ”두나무앤파트너스, 람다256연구소와 협력해 업비트를 대한민국 대표 거래소이자 최고의 블록체인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서는 서부개척 시대를 예로 들었다. 그는 “처음 자동차가 생겼을 때 많은 사람에게 외면 받았던 이유는 달릴 수 있는 도로가 없었기 때문이다”며 “블록체인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하루 빨리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송치형 의장은 카카오스탁, 업비트 등 개발에 직접 참여한 실제 개발자 견해로 개발자의 역할과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강조했다.

송 의장은 “인터넷 원리를 아는 사람은 소수다. 구글과 아마존을 모르는 사람도 없다”며 “블록체인의 구조를 몰라도 모두에게 인정받는 서비스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혁신가이자 발명가인 개발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세계적인 관심과 인프라가 집중되는 지금이 블록체인 개발을 위한 ‘골든타임’이다”며 “인터넷 시대의 넷스케이프가 대중화의 초석이 됐다면 블록체인에서는 통합된 월렛·거래소가 그 시작이 될 것이다. 2년~3년 안에 현실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둘러싼 논란과 과도한 규제에 관한 입장도 밝혔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세계에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역사상 가장 우아한 사기라는 지적부터 민주주의를 실현할 근본적인 기술이라는 찬사까지 쏟아지고 있다.

송 의장은 “결국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무엇이 정답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시작하기도 전에 싹도 못 피우게 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며 “인터넷이 가져왔던 변화 이상의 대격변이 올지도 모른다. 그 미래를 상상하고 준비해 나가는 것은 여기 모인 개발자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두나무는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3년간 1000억원을 투자하고, 더 많은 국내 기업이 블록체인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도 개발 중에 있다”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