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광주지역 수출은 지난해 하반기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수출 유관기관들로 구성된 '수출 활력 촉진단'이 광주를 찾아 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의 지원군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광주광역시 및 지역 수출유관기관 등과 공동으로 20일 광주과학기술진흥원 12층 대연회장에서 ‘수출활력 촉진단 광주 수출지원 설명회’ 행사를 개최했다.
광주광역시 소재 중소·중견기업 100여개사가 참가한 이날 행사는 기업 수출애로 해소 및 맞춤형 현장지원에 초점을 맞춰 ▲수출기업 간담회 ▲수출지원사업 설명회 ▲맞춤형 1대1 상담회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수출기업 간담회에서는 정부부처, 수출유관기관, 기업대표 등이 참가해 금형·기계·전자·소재·화장품 등 지역 주요수출기업의 애로를 듣고 해결방안에 대한 논의가 집중됐다.
간담회와 동시에 진행된 설명회에서는 무역협회, 광주테크노파크 등 10개 수출유관기관의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수출자금융자사업 ▲수출전문가 컨설팅지원사업 등 당장 이용가능한 핵심 수출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특히, 맞춤형 일대일 상담회를 통해서는 50여개사가 참가해 기업별로 유관기관들의 집중 상담이 실시됐다.
간담회와 동시에 진행된 설명회에서는 무역협회, 광주테크노파크 등 10개 수출유관기관의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수출자금융자사업 ▲수출전문가 컨설팅지원사업 등 당장 이용가능한 핵심 수출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특히, 맞춤형 일대일 상담회를 통해서는 50여개사가 참가해 기업별로 유관기관들의 집중 상담이 실시됐다.
한진현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올해 광주는 자동차, 가전 등 주력 수출산업의 부진이 예상되는 가운데, 반도체 분야 실적도 지난해보다는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수출 경기도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산업부 등과 공동으로 현장기업 수출활력 제고활동을 펴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체계적으로 광주시 수출기업의 애로를 모니터링해, 관계기관과 협력해 해결하는 등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개선하는데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광주상공회의소가 지난해 11월20~12월5일까지 지역 수출기업 및 FTA 상반기 활용기업 104개사를 대상으로 ‘2019년 상반기 수출전망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하반기보다 ‘악화될 것(35.6%, 37개사)’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호전될 것’(34.6%, 36개사)이라고 응답한 업체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불변’은 31개사 29.8%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기업들이 신규오더 수주 등의 기대로 수출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한 반면,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와 경기침체라는 악재가 여전히 남아 있어 수출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악화될 것으로 보는 이유로는 ▲글로벌 경쟁심화 (28.3%)와 ▲수출 상대국과의 교역 위축 (26.4%) 등 가격 또는 비가격 경쟁력의 위협을 꼽았다. 반면, 호전될 것으로 보는 이유로는 ▲신규오더 수주 및 거래선 확보(53.3%)와 ▲수출 상대국과의 교역 증가율 회복세(16.7%) 등을 꼽아 수주 및 상대국 경기개선에 따른 호조세를 기대한 것으로 보여진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