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층간소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층간소음을 잡는 아파트가 시장의 이목을 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아파트 층간소음으로 살인·폭행과 각종 보복행위까지 일어나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최근 층간소음을 획기적으로 차단시켜 주는 기술이 적용된 아파트가 속속 등장해 눈길을 끈다.최근 감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입주 예정이던 아파트 191가구(공공 22곳, 민간 6곳)의 층간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 결과를 살펴보면 114가구(60%)가 최소 성능기준에 못 미쳤으며 공공 아파트는 126가구 중 67가구(53%), 민간은 65가구 중 47가구(72%)가 기준치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성능기준은 층간 바닥이 경량충격음(비교적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8dB,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0dB 이하이며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는 210㎜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191가구 가운데 184가구(96%)는 사전 인정받은 바닥구조 성능등급보다 결과치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시공 전과 후의 실제 층간소음 간 차이가 있었다는 의미.
층간소음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도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환경부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에 접수된 층간소음 상담 건수는 총 2만8231건으로 2017년(2만2849건)보다 23.6% 뛰었으며 현장진단까지 받은 경우도 1만142건에 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감사원 발표는 최근 입주 아파트 대상 조사인 만큼 결국 다수 가구가 층간소음이 심한 곳에 산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는 건설사들이 신규분양되는 아파트에 보다 구체적인 층간소음 저감 방안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분양된 아파트에서 바닥 슬래브 두께를 기존보다 더 두껍게 설계한 아파트가 있어 눈길을 끈다. 해당 아파트는 ▲방배그랑자이(250mm)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192(250mm) ▲빌리브 트레비체(250mm) ▲사송 더샵 데시앙(경량충격음 1등급, 중량충격음 3등급 적용) 등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