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한국전력(한전) 이사회가 여름철에만 한시적으로 전기요금을 완화해주는 누진제 개편안에 대한 의결을 보류한 가운데 증권업계에서는 요금인하에 따른 주가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지난해부터 시장에 노출된 악재라는 점에서 주가에 선반영이 됐다는 판단에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전 주가는 최근 3개월간 두 자릿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월4일 장마감 기준 3만5800원이던 주가는 6월26일까지 27.9% 급락한 2만5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또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을 유지하던 한전의 시가총액 순위도 19위권까지 떨어졌다.
앞서 민관합동 전기요금 누진제 태스크포스(TF)는 전기요금 누진제를 유지하되 여름철에만 누진 구간을 늘려 각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누진제 개편 최종 권고안으로 확정했다.
이를 두고 증권가에서는 주가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일부 증권사들은 여름에만 한시적으로 완화해주는 '누진 구간 확장안'이 채택되면서 한국전력이 안고 있던 불확실성이 제거됐다고 평가했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3월 주택용 누진제 개편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후 한전 주가가 25% 넘게 하락했다"며 "이번 최종 권고안이 확정되면서 주택용 전기요금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제거됐다"고 설명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도 "결국 요금인하는 한국전력의 부담이 되겠지만 누진제 개편에 관한 영향은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라며 "계속해서 악화되는 한전의 재무여건에 비춰 더 이상의 정책적 불이익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한전 손실분, 정부가 떠안을까
그렇다면 누진제 개편안에 따른 한전의 손실분은 정부가 보전해줄까. 이를 두고 증권가에서는 정부가 손실분 모두를 보전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최고운 애널리스트는 "정부가 원론적으로 누진제 완화에 따른 한전의 손실분을 일부 보전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난해에도 추가적인 예산 배정에 어려움을 겪었던 만큼 기대감은 낮다"고 분석했다.
한전은 지난해 7~8월 한시 누진제 완화로 떠안은 비용은 3587억원에 달했다. 당시 예산안에 손실액 보전을 반영했지만 국회 예산결산위원회에서 전액 삭감되면서 결국 정부가 예비비로 353억원만 보전해줬다.
한편 한전은 누진제 개편 최종 권고안 직후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이사회를 열고 전기요금 누진제 관련 기본공급약관 개정안과 관련해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