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뱅 승리(왼쪽), 최종훈. /사진=승리 인스타그램
승리라멘이라 불렸던 ‘아오리라멘’이 끝내 파산 절차를 밟게 됐다. 가수 승리의 버닝썬 사태로 인해 훼손된 이미지, 반일감정에 따른 불매운동,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 등으로 급감한 매출이 원인이다. 
버닝썬‧일본불매‧코로나 삼중고에 ‘백기’ 

법원에 따르면 주식회사 팩토리엔(전 아오리에프앤비)은 지난 24일 서울회생법원에 파산신청서를 접수했다. 회사가 진 빚이 보유 자산을 초과한 상태기 때문에 파산을 선고해 달라는 취지다. 법원이 파산을 선고하면 회사는 보유 중인 자산을 정리하고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아오리라멘은 2017년 7월 승리가 아오리에프앤비를 설립한 후 가맹점을 낸 외식 브랜드로 국내‧외 49개 매장을 두며 사세를 키워나갔다. 칸막이가 있는 1인식 좌석과 일본 전통의 맛으로 주목 받았고 승리가 각종 예능에서 소개해 ‘승리 라멘집’으로 인기를 끌며 매출 상승효과를 누렸다. 한때 월 평균 2억원에 달하는 매출이 나올 만큼 장사가 잘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난해 ‘버닝썬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다. 


팩토리엔 측은 승리가 지난해 초 버닝썬 사건에 연루되면서 아오리라멘의 매출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후 승리와 지분 관계를 정리하고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했지만 지난해 7월부터 불거진 ‘노 재팬’ 운동으로 매출 부진이 계속됐다. 가맹점주들은 일본 라멘을 모티브로 한 아오리라멘이 불매 대상으로 꼽히면서 가뜩이나 좋지 않은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외식 소비가 줄어들면서 앞으로도 빚을 갚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게 회사측 주장이다.

아직 영업 중인 일부 ‘아오리라멘’ 지점들은 순차적으로 문을 닫을 예정이다. 중국과 말레이시아 등 해외 지점도 마찬가지로 폐점 수순을 밟게된다.
아오리라멘/사진=머니S

연예인에 ‘울고 웃고’… 리스크는 덤

연예인 때문에 울고 웃는 연예인 프랜차이즈. 프랜차이즈업계의 스타리스크는 사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프랜차이즈업계 관계자는 “스타급 연예인이 직접 사업을 하는 경우 그 사업체는 스타의 부침에 따라 흥망성쇠가 결정되게 마련”이라며 “이미지를 망치면 사업도 망하게 돼 있다. 그런 단순한 사실을 이번 사건이 다시 알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 사례에서도 비슷한 경우를 찾아볼 수 있다. 개그맨 이수근의 이름을 내건 ‘이수근의 술ZIP’은 원샷잔 등이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돼 론칭 초기 주목받았지만 이수근의 도박 혐의가 불거지면서 시장에서 사라졌다. 개그맨 이승환은 연예계를 은퇴하며 외식사업가로 화려하게 변신했지만 그가 론칭한 벌집삼겹살도 업계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됐다.


사업 방식이 달라도 마찬가지다. 승리처럼 직접 본사를 설립하고 브랜드를 론칭한 경우도 있지만 연예인들은 대부분 기존 프랜차이즈에 지분을 투자하고 광고모델로 활동하는 방식으로 업계에 뛰어든다.

이 경우 스타의 유명세로 사업 초기 반짝 관심을 끌 수 있지만 사업적인 전문성은 결여돼 외부 리스크에 쉽게 노출된다. 동종업계 경쟁에서 밀리고 독자적인 생존체계가 없어 불황을 이겨내지 못하고 무너지기 일쑤다. 실제 수년 전부터 치킨 등 다양한 프랜차이즈사업에 뛰어들었던 연예인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좌절을 맛보고 있다.

프랜차이즈업계 관계자는 “소리소문 없이 사라진 연예인 프랜차이즈는 셀 수 없이 많다”며 “앞으로도 얼굴 마담을 앞세워 프랜차이즈사업을 하는 한 잠재된 스타 리스크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연예계 생활을 잘하고 이미지 좋아 프랜차이즈사업도 성공할 수 있다는 방정식은 없다”며 “창업 전에 스타의 능력과 언제 터질지 모르는 사생활을 감안하고도 재산을 걸만할 가치가 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