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 노조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사진=뉴시스
"더 늦기 전에 대대적 금융지원을 시작해야 한다."
대한민국 조종사 노동조합 연맹과 전국연합노동조합연맹 회원들은(이하 항공노조) 14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항공업계가 최악의 위기상황에 놓였다며 이처럼 말했다.

항공노조는 "항공·공항산업은 직접고용 8만여명, 연관 종사자 25만여명에 달하는 국가기간사업"이라며 "인천공항 발전과 함께 한국경제의 한축으로 성장해왔다"며 "그러나 최근 인천공항은 이용객이 95% 이상 감소해 공항이 아닌 항공기 주기장 역할을 하는 처지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항공사들은 적자에 허덕이며 전 직원 순환휴직을 실시 중"이라며 "코로나19 사태가 언제 진정될 수 있을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항공산업은 코로나19 사태만 해소되면 언제든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항공노조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가간 이동제한으로 항공산업의 위기가 발생했다"며 "과거 부실경영으로 위기에 빠진 다른 산업과는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책은행을 통한 금융지원, 시중은행에 대한 대출보증, 세금감면, 임금보조금 지급 등 위기상황에서 항공사들이 버틸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정부의 항공업 관련 지원은 해외 지원사례와 대조된다. 미국과 프랑스는 항공산업에 각각 74조, 60.5조를 투입한다. 독일은 제한 없는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