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가 전경. /사진=머니투데이
신한은행이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의 전세자금대출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가 일부 세입자들의 반발을 의식해 방침을 철회했다. 전세대출이 폭증함에 따라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한다는 취지였지만 비아파트 거주자에 대한 차별 논란과 서민 주택의 자금을 틀어막는다는 비판이 거세져 결국 백지화한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오는 15일부터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의 전세자금대출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가 다시 취소했다. 중단 대상은 다세대주택(빌라), 단독·다가구주택 등이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비아파트 주거비중은 50.8%다. 저소득층의 비아파트 주거비중은 이보다 훨씬 높은 70.5%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 3월 말 전세자금대출은 잔액 기준 86조2534억원을 기록해 2월 대비 2조2000억원(2.6%) 증가했다. 두달 연속 2조원 이상 늘어났다.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이 두달 연속 2조원 이상 증가한 건 2016년 이후 처음이다.
전세자금대출이 급증한 이유는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종합부동산세·재산세(보유세) 등 각종 세금 부담이 높아지며 매수유인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전세자금이 실수요 자금이고 서민 주거용 자금인 점을 고려해 대출을 중단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