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1일 오전 10시 청와대 본관 1층 중앙 로비에서 '2021 신년사'를 발표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 계획을 밝혔다. 사진은 시민들이 서울역에서 문 대통령의 신년사를 보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장동규 기자
정부가 다음달 말부터 요양병원·시설 노인을 우선 접종 대상자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무료접종을 시작한다. 
이어 소아·청소년, 20~40대 청년층 접종을 끝으로 전국민 백신 접종 무료로 시행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1일 오전 10시 청와대 본관 1층 중앙 로비에서 '2021 신년사'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신년사의 제목은 '국민이이 만든 희망: 회복, 포용, 도약'이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와의 기나긴 전쟁이 끝나지 않았지만 새해에는 분명히 다른 해가 될 것이고 우리는 함께 코로나를 이겨낼 것"이라며 백신 접종에 대한 계획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다음 달이면 백신 접종을 시작할 수 있다"며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전 국민이 무료로 접종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정부가 지난해 12월8일 발표한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접종 대상자 3600만명의 접종을 올해 11월 전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우선 대상자의 접종비는 무료일 것으로 보인다. 우선 가장 사망자가 많이 나오고 있는 요양병원·시설 노인이 첫 대상자이다. 코로나19에 가장 치명적인 이들부터 접종한다는 전략.

의료기관 및 요양병원·시설 종사자들도 초반 접종 대상자에 포함됐다. 외부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병원이나 요양시설에 전파시킬 가능성이 높고 코로나19 치료에 전념해야 하는 의료진를 보호한다는 취지다.

이어 만 65세 이상 노인과 만성질환자, 경찰·소방공무원, 군인 등 역시 우선 접종 대상자 범위다. 이들까지 총 3600만명으로 추정되기에 감염전파 억제가 가능한 '집단면역(항체 형성률 60% 이상)'의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다만 소아·청소년과 20~40대 일반 성인의 경우 접종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도 있다. 우선 접종 대상자가 아닌 경우엔 정부가 백신 약값을 지원한다 해도 접종비는 개인이 부담하게 될 수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현재 독감 백신처럼 정부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통상 백신 접종에 드는 비용은 백신 자체 비용과 접종하는 행위, 시설 등에 대한 비용이 포함돼 있다. 이번 코로나19 백신에 대해서는 정부가 제약회사와 개별적으로 협상 선구매했기 때문에 백신 자체 비용은 국민이 별도로 부담하지 않게 된다.

정부는 이달 안에 정종 대상자 순위를 확정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우선접종 권장 대상과 접종시기 등은 조만간 접종 계획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