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가 영국해외시민(British National Overseas·BNO) 여권을 소지한 홍콩인을 대상으로 비자 발급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사진=로이터
영국 정부가 영국해외시민(British National Overseas·BNO) 여권을 소지한 홍콩인을 대상으로 비자 발급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고 로이터통신이 31일 보도했다.

BNO 여권은 지난 1997년 홍콩 반환 이전에 태어난 홍콩인들에게 영국 정부가 발급한 여권이다.

영국 정부는 지난해 6월 홍콩 국가보안법이 시행되자 BNO 여권을 소지한 홍콩인이 5년 동안 영국에서 거주·노동을 할 수 있고 추후 시민권까지 획득할 수 있도록 이민법을 개정했다. 그전까지 BNO 여권 소지자들이 영국 비자를 신청하면 최대 6개월까지 체류할 수 있었다.

새 제도 시행에 따라 BNO 여권을 소지한 홍콩인들은 31일부터 영국에서 5년간 거주하며 일할 수 있는 비자 신청을 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제도 시행으로 영국으로 이주하는 홍콩인은 향후 5년간 약 3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도 제기됐다.

중국은 영국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9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이민 확대 정책은 홍콩인들을 영국의 2등 시민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31일부터 BNO 여권을 유효한 여행 문서 및 신분증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AFP통신은 홍콩인들은 홍콩을 떠나거나 중국 본토에 들어갈 때는 홍콩 여권을 사용하고, 홍콩인이 영국에 입국할 때 BNO 여권을 사용하는 것까지 막을 수단은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불인정 조치는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