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스 바카우 하버드대 총장이 일본군 위안부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와 관련해 "학문의 자유"라며 문제 없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사진=반크 페이스북
일본군 위안부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해 논란이 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와 관련해 하버드대 총장이 "학문의 자유"라며 두둔하고 나섰다.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는 17일 페이스북에 로렌스 바카우 하버드대 총장이 램지어 교수 논란과 관련해 입장을 밝힌 이메일을 공개했다. 반크는 앞서 바카우 총장에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철회시키고 대학 차원에서 규탄 성명을 내달라'는 요구를 담은 이메일을 보낸 바 있다.
바카우 총장 측은 이메일을 통해 "대학 내에서 학문의 자유는 논쟁적인 견해를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논쟁적인 견해가 우리 사회 다수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말하며 문제가 없다는 식의 답을 내놓았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판단은 학문 자유의 영역이어서 대학 내에서 제한할 수 없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다만 총장 측은 "램지어 교수의 의견은 개인 의견임을 밝힌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이에 대해 "'학문의 자유'가 최우선이라는 점을 들어 직접적인 답변을 회피하는 원론적 답변"이라며 "결국 총장 측은 아무것도 안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박 단장은 "하버드 교수 중에 흑인 노예제도를 옹호하는 연구나 독일 나치를 두둔하는 논문을 쓰면 과연 이 같은 답변을 할 수 있겠느냐"며 "(반크는) 글로벌 청원에 참가한 전 세계 1만명의 청원명단과 항의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램지어 교수가 다음달 학술지에 위안부 피해를 성매매로 해석하는 내용의 논문을 실을 예정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위안부 망언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하버드생들은 해당 교수에 대한 규탄 성명을 내고 미국 한인단체도 사임을 요구하고 나섰다.
일본에서 자란 램지어 교수는 2018년엔 일본 정부의 훈장인 욱일장(旭日章) 6가지 중 세번째인 욱일중수장(旭日中綬章)을 수상했다. 이는 해외에 일본 문화를 알린 인물에게 주는 상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