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얀센 백신 101만회분 접종 예약이 시작됐다. 이에따라 얀센 백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얀센 백신. /사진=로이터
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얀센 백신 접종을 예약하기 위해 접종 대상자들이 예약사이트에 대거 몰리며 한때 홈페이지에 오류가 발생했다. 이날 0시 예약 홈페이지가 열리자마자 접종 대상자 다수가 사이트에 접속해 예약을 시도했다. 예약사이트의 접속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정도로 일시에 접속자가 몰렸다. 한때 사이트의 예약 대기 인원은 6만명을 넘어섰고 예상 대기 시간은 1시간여에 달했다. 서울 영등포구 소속 민방위 대원은 접종 대상자가 아니라고 뜨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날부터 11일까지 예비군, 민방위, 국방·외교 관련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얀센 백신 접종 예약을 받는다.
얀센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AZ) 백신처럼 희귀혈전증 우려가 있다. 하지만 1회 접종만으로도 높은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어 접종 대상자 다수가 접종예약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접종 대상자는 30세 이상(1991년 12월31일생 이전) 예비군 53만8000명, 민방위 대원 304만명, 국방·외교 관련자 13만7000명으로 해당 인원만 370만명이 넘는다. 이번 접종에 사용되는 얀센 백신은 101만회분으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받기로 한 55만명분 두배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하지만 370만명 전체가 접종하기엔 부족해 선착순 예약을 받기로 했다.
얀센 백신은 필수적인 공무나 중요 경제활동 등으로 긴급하게 해외를 방문하는 경우에도 일부 활용될 수 있다. 접종은 오는 10일부터 20일까지 전국 위탁 의료기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얀센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처럼 일부에서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 혈전증이 보고된 바 있다.
미국은 얀센 백신 사용을 허가하며 나이 제한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50세 미만 여성에게는 희귀 혈전증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임상시험에서도 등록 대상자 4만3783명 중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상완신경근염 등 7건으로 알려졌다.
추진단도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과 예방접종전문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30세 이상을 대상으로 얀센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
그럼에도 접종 대상자 다수가 사전 예약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얀센 백신이 1회 접종만으로도 높은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미국 등에서 실시한 다국가 임상시험에 따르면 접종자 3만9321명 중 접종 14일 이후 66.9%, 28일 이후 66.1%가 예방접종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변이주에 64%, 브라질 변이주에 68.1%의 효과를 보인 것으로 증명됐다.
미국에선 1050만여명이 접종받았다. 카투사 등 한국인을 포함한 주한미군 내 접종자 1만7000명 중 5200여명이 얀센 백신을 접종했다.
얀센 백신은 필수적인 공무나 중요 경제활동 등으로 긴급하게 해외를 방문하는 경우에도 일부 활용될 수 있다. 접종은 오는 10일부터 20일까지 전국 위탁 의료기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얀센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처럼 일부에서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 혈전증이 보고된 바 있다.
미국은 얀센 백신 사용을 허가하며 나이 제한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50세 미만 여성에게는 희귀 혈전증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임상시험에서도 등록 대상자 4만3783명 중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상완신경근염 등 7건으로 알려졌다.
추진단도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과 예방접종전문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30세 이상을 대상으로 얀센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
그럼에도 접종 대상자 다수가 사전 예약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얀센 백신이 1회 접종만으로도 높은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미국 등에서 실시한 다국가 임상시험에 따르면 접종자 3만9321명 중 접종 14일 이후 66.9%, 28일 이후 66.1%가 예방접종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변이주에 64%, 브라질 변이주에 68.1%의 효과를 보인 것으로 증명됐다.
미국에선 1050만여명이 접종받았다. 카투사 등 한국인을 포함한 주한미군 내 접종자 1만7000명 중 5200여명이 얀센 백신을 접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