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항공업체에 지급해온 ‘고용유지지원금’의 만료가 다가오면서 LCC가 ‘고용절벽’ 위기에 직면했다. 사진은 김포공항 국내선 출국장. /사진=뉴스1
정부가 항공업체에 지급해온 유급휴직 고용유지지원금의 종료가 임박했다. 대형 항공업체는 여객 수요 감소를 ‘화물 운송’으로 버텼지만 대안이 없는 저비용항공업체(LCC)는 고사 위기에 몰렸다.3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항공업체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이 9월30일을 기점으로 끝난다.
고용유지지원금은 사업주가 노동자에게 제공하는 휴업·휴직 수당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보조금이다. 사업주가 고용을 유지한다는 조건 아래 유급휴직의 경우 평균 임금의 70%에 달하는 휴업수당을 최대 90% 지원하고 나머지 10%는 기업이 부담한다.
정부는 1년에 최대 6개월 고용유지지원금을 보조할 계획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항공업계의 지속된 업황 악화로 3개월 연장했다.
정부가 유급휴직자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을 연장하지 않기로 하면서 LCC는 무급휴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무급휴직의 경우 평균 임금의 50% 수준으로 지원된다.
코로나19 여파 속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등 대형업체는 화물 운송으로 그나마 수익을 내고 있지만 LCC는 여전히 부진의 늪에서 허덕인다. 경영 악화가 지속되면서 지원금이 끊길 경우 진에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LCC는 사실상 구조조정에 들어가야 한다.
유급휴직에서 무급휴직으로 전환되면 항공업체 직원들이 받는 지원금(평균임금의 50%)은 최대 198만원으로 줄어든다. 무급휴직 전환 시 월급 200만원 종사자의 지원금은 월 14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월급 400만원 종사자는 280만원에서 198만원으로 급감한다.
무급휴직이 시행되면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직원들의 이탈이 이어질 전망이다. LCC에서도 인건비 절감을 위해 인력조정을 단행할 것으로 보여 고용절벽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