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회 국토위원회 소속 김상훈 의원(국민의힘·대구 서구)은 한국부동산원의 ‘서울아파트 평형별 매매시세 현황(2017년 6월~2021년 6월)을 분석한 결과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전용면적 40~62.8㎡) 매매가가 평균 7억3578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김 의원이 '서울 시민후보 찾기 공청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서울에서 중소형 아파트 매매가가 4년 만에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19일 국회 국토위원회 소속 김상훈 의원(국민의힘·대구 서구)은 한국부동산원의 ‘서울아파트 평형별 매매시세 현황(2017년 6월~2021년 6월)을 분석한 결과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전용면적 40~62.8㎡) 매매가가 평균 7억3578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017년 6월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 평균 시세는 3억7758만원이었다”며 “현정부 출범 이후 4년 만에 2배 가까이 상승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김상훈 의원실
지역별로 보면 성동구 중소형 아파트 평균시세는 같은 기간 4억7835만원에서 10억7173만원으로 올랐고, 마포구는 4억5922만원에서 8억9520만원으로 급증했다. 3억6941만원이었던 강동구 또한 2배가 오른 7억 5234만원에 달했다. 4년 전 시세가 2억원대였던 구로구·노원구·중랑구는 모두 5억원을 넘어섰다.서울 25개 자치구 중 중소형 아파트 평균시세가 6억원이 넘는 곳은 4년 전엔 강남구 1곳이었으나 현재는 19개로 대폭 늘었다. 6억원은 보금자리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한선이다. 김 의원은 “청년이나 사회초년생, 신혼부부의 수요가 높은 중소형 아파트의 평균 시세가 7억원대에 달한다”며 “서울에서 보금자리대출을 받을 수 있는 아파트를 찾기 어렵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서울에서 생애첫집의 가격이 급증했다”며 “작은 보금자리조차 수억 주택이 된 현실부터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