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워싱턴 의회에 난입해 구호를 외치고 있는 모습.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워싱턴=뉴스1) 김현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1·6 의사당 난입’ 사태 1주년인 오는 6일(현지시간) 연설을 통해 당시 사태에 대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책임을 분명히 거론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당일 대국민 연설을 할 예정이라고 전하며 이렇게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020년 11월 치러진 대선에서 패배했지만 ‘부정선거’ 의혹을 끊임없이 주장해 왔다. 이에 동조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자자들 수천명은 지난해 1월6일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을 승인하는 상·하원 합동회의를 저지하기 위해 의사당에 난입해 폭동을 일으켰다.
미국 민주주의 역사에 있어 가장 수치스러운 사건이었던 당시 폭동 사태로 4명이 사망하고, 150명 이상의 경찰관이 부상을 당했다. 폭동 사태 이후 경찰관 5명도 사망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럼에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여전히 ‘선거 사기’ 등 부정선거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과 그의 참모들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의 ‘부정선거’ 주장에 대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자제해 왔다.
그러나 1·6 난입 사태 1주년을 맞이해 바이든 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책임을 분명히 하면서 정면 대응 의지를 천명할 것으로 전해졌다.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우리 민주주의에 어떤 위협을 가하고 있는지, 미국의 기본 가치와 법치를 지속적으로 훼손하기 위해 어떻게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지 똑똑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이 1·6 폭동 사태를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4년 동안 우리나라에 한 비극의 정점”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키 대변인은 공화당 의원들이 여전히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침묵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당초 트럼프 전 대통령은 6일 기자회견을 갖고 ‘부정선거’ 의혹 주장을 펼 예정이었지만, 돌연 취소했다. 대신 그는 오는 15일 애리조나에서 열리는 집회에서 관련 언급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