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외식 업계가 지역 농가와의 상생에 공을 들이고 있다. 가파른 물가 상승 및 판로 축소, 수요 감소 등으로 난항을 겪는 농가를 위해 '윈윈(win-win)' 모델 구축에 나서고 있다. 그 지역만의 특별한 소재를 활용한 제품을 선보이거나 지역 고유의 특색을 살리고 있다.
우선, ㈜오뚜기는 제주 로컬 맛집 '금악똣똣라면'과 협업해, 제주 지역 전용 제품인 '제주똣똣라면'을 출시했다. 제주똣똣라면은 얼큰하고 진한 진라면에 금악똣똣라면의 레시피를 더한 제품이다.
오뚜기는 마늘, 돼지고기, 대파 등 제주산을 사용해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도모하고 있다.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에서 자란 마늘로 만든 큼직한 동결건조 마늘블럭을 첨가했고, 제주산 돼지고기로 만든 후레이크와 건조 대파를 듬뿍 넣은 건더기 스프를 별첨했다.
특히, 소비자 비선호 부위 적체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양돈업계를 돕기 위해 돼지 뒷다리살을 활용했다.
이외에도 오뚜기는 지난해 11월 제주 농가의 신선한 원료를 사용해 지역 고유의 맛과 특색을 담은 '제주담음' 브랜드를 론칭했으며, 첫 제품으로 ▲제주 흑돼지 카레 ▲제주 한라봉 마말레이드 2종을 선보였다.
또 ㈜오뚜기는 국산 다시마의 70% 이상을 생산하는 전남 완도군의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고자 '완도산 다시마'를 제품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완도산 청정 다시마 2개를 넣어 깊은 감칠맛을 살린 한정판 '오동통면'을 선보였으며, 다시마를 1개에서 2개로 늘린 '오동통면'이 당시 큰 호응을 얻자 ㈜오뚜기는 해당 제품을 정식 출시했다.
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 '티바두마리치킨'은 경상남도 창녕군과 마늘협약 MOU를 맺으며, 연간 100여 톤의 최창녕마늘을 공급받아 품질면에서도 우수한 경쟁력을 선보이고 있다.
치킨 전문점 창업 가맹 브랜드 티바두마리치킨은 땡초불파닭, 땡초어니언, 크리미어니언, 청양고추마요 등 새로운 국내산 식재료를 활용한 신메뉴를 선보인 바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산 식재료를 활용한 특징 있는 메뉴를 개발하고 있다.
SPC그룹 베이커리 파리바게뜨는 코로나19 확산, 기상 피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농가를 돕기 위해 '행복상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파리바게뜨는 현재까지 강원 평창 감자, 제주 구좌 당근, 충남 논산 딸기, 전남 무안 양파, 경북 영주 풍기인삼, 영천 샤인머스캣, 경산 대추 등을 활용한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상생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맥도날드는 지난해 7월부터 고품질 국산 식재료를 활용한 '한국의 맛(Taste of Korea)'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지난해 '창녕 갈릭 버거'를 처음 출시했고, 올해 '보성녹돈 버거'를 선보였다.
보성 녹돈은 육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잡내를 최소화한 국내산 프리미엄 돈육으로, 이를 사용해 두툼한 패티를 만들었다. 이 외에도 피자알볼로는 진도산 친환경 흑미를 활용한 '흑미 도우'를 만들고 있으며, 전북 임실에서 생산하는 임실 치즈와 강원도 영월 고추를 사용한 핫소스 등 국내산 식재료를 사용하며 국내 농가와 상생을 이어가고 있다.
반찬가게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진이찬방은 200여 종의 다채로운 메뉴로 기존의 반찬전문점의 한정적인 메뉴의 단점을 극복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정선, 철원, 여수, 당진 등 전국 각 지역 대표적인 먹거리를 엄선해 농가와 직거래를 진행해 공급되는 산지먹거리 품목으로 건강한 레시피 또한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가치소비'에 동참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기업과 지역 농가 간 상생의 가치를 내세운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농·어민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