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을 출범했다. /사진=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철강협회에서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EU CBAM 도입 등 글로벌 탄소 규제에 대비해 한국 철강 산업의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조성대 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실장은 "아직 구체적인 배출량 산정 방법과 국내 배출권 구매 인정 여부 등이 결정되지 않았지만 이를 본격 시행했을 때 EU시장 진입이 제한된 철강재를 제3국으로 선회하면서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며 "글로벌 철강 무역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우려했다.
참여자들은 위기 극복을 위해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우리 기업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품 내재 배출량 측정과 보고, 검증 시스템을 완비해야 한다"며 "과감한 투자와 지원으로 저탄소 제품 중심의 탄소경쟁력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철강 업계 관계자들은 탄소 규제가 우리 수출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과 직결되는 만큼 탄소 배출 검·인증, 설비 투자와 기술 개발 등 정책 지원을 요청했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철강업계의 탄소 중립을 위해 전기로 효율 향상과 수소환원 제철 기초설계 등 2097억원 규모의 기술개발을 지원할 것"이라며 "탄소 배출량 검·인증기관을 확대하고 국제표준 개발과 대응 가이드북 배포, 실무자 교육 지원 등 우리 기업의 탄소규제 대응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