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4일 중국 텐진에 위치한 삼성전기 MLCC 생산 공장을 찾아 생산 라인을 점검했다. /사진=삼성전자
MLCC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덴서(축전기)의 일종이다. 회로에 들어오는 전류가 일정하지 않으면 전자제품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고장이 날 수 있는데 MLCC는 중간에서 반도체에 전기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일종의 댐 역할을 한다.
반도체와 전자회로가 있는 제품에는 MLCC가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전자산업의 쌀'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크기가 가로 0.4㎜, 세로 0.2㎜에 불과한 제품도 있을 정도로 쌀알보다도 크기가 작다. 통상 스마트폰 1대에 800~1200개의 MLCC가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지능(AI), 디지털전환 등 4차 사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MLCC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전장용 MLCC는 대표적인 블루오션으로 꼽힌다. 전자제품에 비해 들어가는 MLCC 수가 훨씬 많기 때문이다.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에는 동력전달·안전주행·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3000~1만개의 MLCC가 탑재된다.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전기차에는 약 2만개의 MLCC가 들어간다.
국내에서 MLCC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은 삼성전기다. 일본 시장조사기업 후지경제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MLCC 시장 규모는 판매금 기준 158억5000만달러로 예상되며 일본 무라타가 30%대로 1위를, 삼성전기가 25%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장용 MLCC에선 일본 기업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전장용 MLCC는 고온(150도 이상) 및 저온(영하 55도)의 환경, 휨 강도 등 충격이 전달되는 상황, 높은 습도(85%) 등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또한 자동차 전자부품 신뢰성 시험 규격인 AEC-Q200(자동차용 수동부품에 대한 인증규격) 인증을 취득해야 하는 까다로운 제조 기준과 각 거래선별 엄격한 검증을 통과해야 공급할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전장용 MLCC 시장에서 무라타가 44%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 TDK와 다이오유덴, 야게오가 20%, 18%, 9%로 뒤를 잇고 있다. 일본 기업이 90% 가량을 장악한 셈이다. 삼성전기의 전장용 MLCC 점유율은 4%에 그친다.
하지만 올해는 삼성전기의 약진이 예상된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무라타의 점유율이 지난해 44%에 올해 41%로, TDK는 20%에서 16%로, 다이오유덴은 18%에서 13%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한 반면 삼성전기의 점유율은 4%에서 13%로 크게 뛸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