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경계경보' 위급재난문자와 관련해 현장 실무자의 과잉 대응일 수는 있지만 오발령은 아니라고 밝혔다. 사진은 31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입장 발표 뒤 인사하는 오 시장. /사진=뉴스1
서울시는 31일 오전 6시41분 '오전 6시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란다'는 내용의 위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
행안부는 이날 오전 7시3분 '서울시에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린다'고 정정했다. 서울시는 22분 뒤 '서울시 전지역 경계경보가 해제됐음을 알려드린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일상으로 복귀하시길 바란다'며 경보 해제 문자를 보냈다.
그러는 동안 놀란 시민들은 우왕좌왕하며 어쩔 줄 몰라했고 사태를 파악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이 몰리면서 한때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 서버가 마비되기도 했다.
이처럼 이른 아침 시민들을 일시적인 패닉 상태에 빠트린 경계경보 발령을 놓고 서울시와 행안부의 해명이 엇갈리고 있다. 서울시는 "행안부 지령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고 행안부는 "서울시의 오발령"이라고 밝힌 것이다.
서울시가 31일 오전 6시41분 '오전 6시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에 관한 위급재난문자를 발송하자 행정안전부는 22분 뒤 서울시의 오발령 사항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시민이 받은 위급재난문자(왼쪽)와 안전안내문자. /사진=정원기 기자
반면 서울시는 "오전 6시30분 백령도 인근에 경계경보를 발령했다는 행정안전부 중앙통제소의 지령 방송에 따라 재난문자를 발송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민방위경보통제소가 행안부 제1민방위경보통제소에서 관련 내용을 통보받고 재난문자 발송 요청을 해 시에서 승인했다"고 부연했다.
서울시는 "백령면 대청면에 실제 경계경보가 발령됐다"며 "경보 비수신 지역은 자체적으로 실제 경계경보를 발령하라는 지령방송이 수신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경계경보를 발령했다"며 "상황이 정확히 파악되기 전에는 우선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상황 확인 후 해제하는 것이 비상 상황 시에는 당연한 절차"라고 덧붙였다.
행안부와 서울시의 입장이 다른 것은 행안부 중앙통제소가 보낸 지령 방송 내용을 서로 다르게 해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행안부 중앙통제소가 보낸 지령 방송에는 '현재 시각, 백령면 대청면에 실제 경계경보 발령. 경보 미수신 지역은 자체적으로 실제 경계경보 발령'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지령 방송은 전국 17개 시·도에 공통으로 보내졌다.
서울시에 따르면 '경보 미수신 지역'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행안부 중앙통제소에 전화를 걸었다. 하지만 연락이 닿지 않자 긴급한 상황이라고 판단해 절차에 따라 위급재난문자를 보냈다.
행안부는 지령 방송에 보냈던 '경보 미수신 지역'은 백령면과 대청면 지역에서 경계경보를 받지 못하는 지역을 뜻하는 것으로 서울 지역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행안부는 17개 시·도 중 서울시에서만 경보 문자를 보낸 것은 서울시가 잘못 해석한 탓으로 봤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갖고 "이번 긴급 문자는 현장 실무자의 과잉 대응일 수는 있지만 오발령은 아니다"라며 "안전에 타협이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잉이라고 싶을 정도로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시민 혼선을 막고 신속·정확하게 알리기 위해 경보체계 안내 문구와 대피 방법 등을 더 다듬어 정부와 협조해 발전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