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해군이 지난달 31일부터 1일까지 이틀째 북한 '우주발사체' 낙하물 수색·인양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사진=뉴시스(합동참모본부 제공)
해군이 북한의 '우주발사체'가 떨어진 서해 공해상에서 이틀째 낙하물 수색·인양 작업을 벌인다.
1일 군 당국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달 31일부터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 해상에서 수상함 구조함 '통영함'(ATS-31)과 '광양함'(ATS-32) 등을 동원해 '우주발사체' 수색·인양 작업을 진행 중이다. 통영함은 지난달 31일 오전8시5분쯤 북한이 쏜 발사체 일부를 인양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물체는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1·2단 추진체의 연결부로 알려졌다. 물체 바깥 부분엔 붉은색으로 '점검문-13 (기구조립)' 등의 글씨가 적혀 있다.


군 안팎에선 북한이 쏜 발사체가 공중에서 폭발하지 않았다면 위성 본체 등도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바닷속에 가라앉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해난구조전대(SSU)의 심해잠수사와 소나(음파탐지장비), 수중무인탐사기(ROV) 등도 수색·인양 작업에 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발사체 추락 지점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중간 해역인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중국 측에서도 발사체 수색·인양에 나섰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우리 군은 오전 6시29분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된 '북한 주장의 우주 발사체' 1발을 포착했다. 합참은 "이 발사체는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해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비정상적 비행으로 낙하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