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7일 환경부·서울시·SK E&S·티맵모빌리티와 ‘수소 모빌리티 선도도시 서울 조성 업무협약’(MOU)을 맺고 수소 버스 보급 확대에 나선다. 사진은 이날 열린 관련 협약식에 참석한 추형욱(왼쪽부터) SK E&S 사장, 한화진 환경부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사장. /사진=현대차
7일 현대차에 따르면 서울시청에서 환경부·서울시·SK E&S·티맵모빌리티와 '수소 모빌리티 선도도시 서울 조성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의 시내버스와 공항버스, 통근버스 등을 수소버스로 전환하기 위한 협력 행보다.
이날 행사에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추형욱 SK E&S 사장,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사장 등이 참석했다.
서울시는 이번 협력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300여대의 공항버스를 포함해 대중교통 1300여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고 버스 전용 충전소 5개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수소버스 전환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한다.
현대차는 2026년까지 공항버스를 포함해 서울시가 수소버스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저상·고상 수소버스를 적기에 생산해 공급할 예정이다.
SK E&S는 안정적인 액화수소 생산과 공급 및 충전 인프라 구축에 노력하고 티맵모빌리티는 경유 공항버스 등을 수소버스로 조기에 전환하는 데 협력한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버스, 트럭 등 수소 상용차 개발을 중단 없이 추진해 다양한 라인업을 시장에 출시하겠다"며 "수소 에너지 밸류체인 전반을 구축하기 위해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도 국내에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서울시가 운영하는 대중교통의 수소버스 전환을 통해 더 많은 분들께서 수소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체험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현대차가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수소버스는 충전시간이 30분 이내로 전기버스보다 더 짧다. 주행 거리는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약 600㎞ 이상으로 대중교통 버스로 적합하다는 평가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수소버스의 적기 공급을 위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에 노력할 계획이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1일 500㎏ 규모의 청정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 등 국내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일반 시내버스뿐 아니라 경유버스로 장거리 운행 중인 공항버스 등을 친환경 수소버스로 전환함으로써 대중교통의 친환경성을 높이고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