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의 대안으로 주목받은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탄산음료로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1일 머니S 취재에 따르면 펩시 제로에 대체당 성분으로 아스파탐이, 코카-콜라 제로에는 아세설팜칼륨과 수크랄로스가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는 모두 설탕보다 단 맛을 내는 무열량 감미료로 설탕 대체재로 사용된다.
펩시 제로(왼쪽)와 코카-콜라 제로의 성분을 살펴보면 다른 인공감미료가 포함돼 있다. 헵시에는 아스파탐이 들어간 반면 코카-콜라는 다른 성분을 함유했다. /사진=연희진 기자
IARC는 각종 환경 요소의 인체 암 유발 여부와 정도를 5개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위험도가 가장 높은 1군은 '인체에 발암성이 있는' 물질이다. 담배, 석면, 다이옥신, 벤조피렌, 가공육 등이 해당한다. 다음 단계인 2A군은 '발암 추정' 물질로 붉은 고기, 고온의 튀김, 질소 머스터드, 우레탄 등이다.
아스파탐이 속할 예정인 2B군은 '사람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납, 쿠멘, 디곡신, 이소포론 등이 포함된다. 2B군은 인체 관련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다. 로이터에 따르면 IARC는 이번 아스파탐 발암물질 분류 검토 과정에서 1300건의 연구를 평가했다.
이번 로이터 보도에 대해 펩시 제로를 유통하는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펩시 제로 원액은 글로벌 펩시에서 들여와 판매하고 있어 글로벌 펩시와 이 사안에 대해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아직 특별한 조치를 내놓기 이르다"며 "7월14일 WHO 산하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의 결론을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국내 식품업계에서는 한국식품산업협회가 상황을 지켜보며 공동 대응할 예정이다.
앞서 JECFA는 1981년 이후 아스파탐이 일일 제한량 이내로 섭취하면 안전하다고 설명해왔다. 예를 들어 몸무게 60㎏ 성인이 하루 12~36캔의 제로 탄산음료를 마셔야 위험하다는 식이었다. 로이터에 따르면 국제감미료협회(ISA) 관계자는 "IARC는 식품 안전기구가 아니며 IARC의 아스파탐 평가는 과학적으로 포괄적이지 않고 신빙성이 떨어지는 연구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