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면서 철저한 개인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살모넬라균에 의해 발생한 식중독 사고는 131건 발생했고 환자 수는 7400명에 이른다. 이 중 6~9월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의 약 67%를 차지한다.
식중독은 살아있는 세균이나 세균이 생산한 독소를 함유한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 설사나 복통과 같은 급성 위장염 증상이나 고열 등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의사의 처방 없이 임의로 항구토제나 지사제 등을 복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탈수, 고열, 혈변 등의 증상이 심하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면역력이 약한 소아나 노약자들은 특히 주의해야 하며 건강한 사람도 설사나 복통, 고열이 장기 지속하면 내원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식중독에 걸렸을 때에는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액체를 마실 수 없는 상황이라면 수액을 통해 수분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음식 조리 전후나 화장실 사용 후, 달걀·육류 등 식재료를 만진 후에는 꼭 손을 씻어야 한다.
해산물 등 음식을 조리할 때 충분히 익히고 물은 끓여 먹는 것이 좋다. 먹고 남은 음식은 재가열해 식힌 뒤 냉장고에 보관하고 2일 이상 두지 않아야 한다. 냉장식품은 5℃ 이하, 냉동식품은 영하 18℃ 이하에서 보관해야 한다.
김양리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식중독은 오한, 발열, 구토, 복통 등이 주요 증상이며 심하면 탈수까지 이어질 수 있어 예방이 최선이다"며 "소아 또는 노약자 등 면역력이 약한 환자는 식중독이 발생하면 탈수 방지를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