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19일부터 2023-2024절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사진은 지난 5월15일 서울 종로구 보건소에서 상반기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뉴스1
질병관리청은 지난 26일 2023-2024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접종계획은 XBB 변이에 대응하는 코로나19 백신의 효과성과 안전성,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사항, 미국·일본·영국·호주 등 주요 국가의 정책방향 등을 검토해 마련됐다. 지난 8일 코로나19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와 지난 11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됐다.
코로나19 백신 접종기간은 오는 10월19일부터 2024년 3월31일까지다. 65세 이상 고령자, 12~64세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등 고위험군에게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적극 권고된다. 지난 26일부터 사전예약이 시작됐다.
고위험군이 아닌 12세 이상 국민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희망한다면 오는 11월1일부터 2024년 3월31일까지 접종할 수 있다. 이들은 오는 10월18일부터 사전예약을 할 수 있다. 새 코로나19 백신 접종비는 전 국민 무료다.
━
동절기에 어떤 코로나 백신 맞나━
이번 동절기에 접종할 코로나19 백신은 XBB.1.5 변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신규 단가백신이 활용된다. 신규 단가백신을 1회 접종하면 그동안 기초접종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도 백신 접종이 완료된다.국내 도입될 코로나19 백신은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인데 화이자 백신은 지난 12일, 모더나 백신은 지난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각각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다.
지난 18일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404만회분이 국내에 들어왔고 총 1000만회분이 순차 도입될 예정이다.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도 오는 10월부터 500만회분이 반입될 전망이다.
전임상 결과 화이자의 XBB.1.5 변이 대응 백신의 중화항체가(면역형성 능력)는 BA.4/5 2가백신에 비해 약 3.1배 높았다. 모더나의 XBB.1.5 변이 대응 백신의 중화항체가는 BA.4/5 2가백신보다 약 2.7배 높았다.
화이자, 모더나 외 노바백스의 XBB.1.5 변이 대응 백신도 연내 도입할 예정이다.
기존에 활용됐던 최초 코로나19 바이러스(우한주)에 대응하는 코로나19 백신과 BA.4/5 2가백신의 접종은 오는 10월19일부터 중단된다.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인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코비원의 접종도 같은 날부터 중단된다.
미국에서는 지난 15일부터, 일본에서는 지난 20일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XBB.1.5 변이 대응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영국과 호주에서는 65세 이상 고령자,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예정이다.
━
코로나19 백신과 독감 백신 동시 접종 권고━
질병관리청은 이번 동절기 접종부터 코로나19 백신과 독감 백신의 동시접종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미국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이미 두 백신의 동시 접종을 추진하고 있다.지난 8일 발표된 이스라엘에서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백신을 동시접종한 집단과 코로나19 백신을 단독접종한 집단의 면역원성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두 백신을 동시접종하더라도 백신 효과는 충분히 발현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영국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도 두 백신을 분리접종한 집단과 코로나19 백신을 단독접종한 집단 간 면역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동시접종으로 인해 백신 효과는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접종한 집단의 이상반응도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의 전신반응이었으며 국소 이상반응은 주사부위 통증(83%)이 대부분이었다.
WHO와 미국 질병예방센터(CDC)도 코로나19 백신과 독감 백신의 동시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고위험군의 중증 및 사망 예방을 최우선 목표로 해 접종이 적기에 시행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으므로 고위험군은 10월부터 시작하는 이번 절기접종에 적극 동참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