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혼계영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황선우가 역영하고 있다. 대한민국 남자 400m 혼계영 대표팀은 이날 2위를 차지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2023.9.27/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항저우(중국)=뉴스1) 이상철 기자 =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경영 일정의 반환점을 돈 가운데 수영 대표팀의 메달 행진이 사흘째 이어졌다. 금메달은 없었지만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추가하며 총 9개(금 2·은 2·동 5)의 메달을 획득, 6개(금 1·은 1·동 4)에 그쳤던 지난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의 메달 개수를 뛰어넘었다.

한동안 인연이 없던 종목에서 메달을 얻었다는 것이 고무적이다. 이은지(방산고)는 25년 만에 여자 배영 메달리스트가 됐고, 혼계영 400m 대표팀과 자유형 1500m의 김우민(강원특별자치도청)은 나란히 13년 만에 메달을 수확했다.


26일 오후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400m 혼계영 결승전에서 각각 1·2·3위를 차지한 중국·한국·일본 선수들이 메달을 목에 걸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 남자 400m 혼계영 대표팀은 이날 2위를 차지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2023.9.26/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황선우, 최동열(이상 강원특별자치도청), 이주호(서귀포시청). 김영범(강원체고)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26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아쿠아틱 스포츠 아레나에서 열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혼계영 400m 결선에서 3분32초05의 한국 기록을 세우며 2위에 올랐다.

1위는 3분27초01의 아시아 기록을 수립한 중국이 차지했고, 일본은 한국보다 0.47초 뒤진 3분32초52로 3위에 자리했다.

이날 찍은 3분32초05는 이들이 지난 7월 후쿠오카 세계선수권에서 작성한 한국 기록(3분34초25)을 2초20이나 단축한 것.


2010년 광저우 대회에서 기록한 이 종목 역대 최고 성적과도 타이를 이뤘다. 그때 은메달 이후 이 종목에서는 메달이 없었는데 13년 만에 다시 시상대 위에 섰다.

24일 남자 자유형 100m 등메달, 25일 남자 계영 800m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황선우는 이날 남자 혼계영 400m에서도 은메달을 추가, 사흘 연속 시상대에 올랐다.

26일 오후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자유형 1,500m 결승전에서 김우민이 2위를 차지해 은메달을 목에 걸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3.9.26/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중장거리 간판 김우민(강원특별자치도청)도 남자 자유형 1500m에서 값진 은메달을 거머쥐었다.

김우민은 15분01초07로 개인 시즌 베스트 기록을 작성했지만 중후반 이후 체력이 떨어져 페이리웨이(14분55초47·중국)에 이어 2위로 레이스를 마쳤다.

계영 800m 금메달로 첫 단추를 잘 끼웠으나 2번째 경기인 자유형 1500m에서 은메달을 따면서 김우민의 4관왕 도전은 아쉽게 무산됐다.

그래도 김우민의 자유형 1500m 은메달은 의미가 컸다. 2010년 광저우 대회에서 남자 자유형 1500m 은메달을 목에 걸었던 '우상' 박태환 이후 13년 만에 메달을 안겼다.

26일 오후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배영 200m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이은지가 3위에 올라 동메달을 목에 걸고 기뻐하고 있다. 이은지는 이날 3위에 올라 1998년 방콕 대회의 심민지(동메달)에 이어 25년 만에 아시안게임 여자 배영 200m에서 메달을 목에 건 한국 선수가 됐다. 2023.9.26/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고교생 수영 국가대표' 이은지(방산고)는 여자 배영 200m 결선에서 짜릿한 역전 드라마를 펼치며 개인 첫 아시안게임 메달을 수확했다

4위로 레이스를 펼치던 이은지는 마지막 50m 구간에서 나리타 미오(일본)를 제쳤고, 결국 2분09초75로 3위를 차지했다.

아시안게임 여자 배영에서 메달리스트를 배출한 것은 1998년 방콕 대회의 최수민(100m 동메달)과 심민지(200m 동메달) 이후 25년 만이다.

다른 종목 결선에 진출한 선수들은 시상대에 서지 못했다.

남자 개인혼영 400m의 김민석(부산광역시수영연맹)은 5위(4분18초54)에 자리했다. 여자 자유형 100m의 허연경(방산고)은 6위(54초70)에, 여자 자유형 400m의 한다경(전라북도체육회)은 8위(4분18초12)에 그쳤다.

한편 중국은 여자 배영 200m와 자유형 400m, 남자 자유형 1500m와 혼계영 400m에서 우승하며 금메달 4개를 땄다. 중국은 이번 대회 수영에서 금메달 11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2개로 압도적 성적을 올리고 있다.

한국이 금메달 2개와 은메달 2개, 동메달 5개로 종합 2위다.

일본은 남자 개인혼영 400m에서 혼다 도모루가 1위에 오르면서 첫 수영 금메달을 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