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틴은 지난 14일(현지시각) 유네스코 프랑스 파리 본부에서 열린 제13회 '유네스코 청년포럼'에 참석했다. /사진=뉴스1
지난 14일(이하 현지시각) 세븐틴은 유네스코 프랑스 파리 본부에서 개최된 제13회 유네스코 청년포럼에서 '청년 간의 연대와 교육이 청년과 지구의 미래를 바꾼다'라는 주제로 연설했다.
'유네스코 청년포럼'은 유네스코 총회 기간에 열리는 행사로 청년세대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연대를 다지는 자리다. 이 자리에는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유네스코 회원국(194개국)의 국가수반급 대표자와 청년 170여명, 일반객 550명 등이 참석했다.
부상으로 활동을 일시 중단한 에스쿱스를 제외한 멤버 12명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승관, 준, 민규, 우지, 조슈아, 버논이 대표자로 나서 청년간 연대와 교육이 청년과 지구의 미래를 바꾼다는 주제로 연설했다. 이에 머니S는 유네스코 총회급 행사에서 한국가수 최초로 단독 스피치를 한 그룹 세븐틴을 15일 화제의 인물로 선정했다.
멤버 준, 조슈아, 버논, 우지, 승관, 민규(왼쪽 위부터 시계방향)가 14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에서 열린 '제13회 유네스코 청년포럼'에사 연설했다. /사진=뉴스1
바통을 이어받은 중국 출신의 준은 "2012년 멤버들을 처음 만난 날부터 지금까지 한 가지 확신하는 게 있다"며 "혼자는 힘들지만 13명이 함께라면 해낼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서로가 서로에게 선생님이었다"며 "함께 연습하고 함께 창작하고 점차 더 나은 자신이 됐다. 함께라면 최고의 팀"이라고 전했다.
세븐틴은 지난 2015년 데뷔해 다수의 곡에서 긍정의 메시지를 전해왔다. 우지는 "세븐틴은 데뷔 9년차에도 팬이 늘고 성장하는 그룹"이라며 "처음부터 성공을 기대할 수 있었던 건 아니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우리가 실패할 거라는 곱지 않은 시선도 있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처음 데뷔했을 때 멤버가 너무 많다는 지적이 있었다"며"멤버의 평균 나이가 17세로 너무 어리다 보니 '멤버 간 잘 못 지낼 거다', '그들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하긴 어려울 거다'라는 의심도 많았다"고 털어놨다.
지난 14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에서 열린 '제13회 유네스코 청년포럼'에 참석한 아이돌 그룹 세븐틴을 만나기위해 네덜란드에서 온 열혈 팬 호유(24)가 좌석을 세븐틴의 굿즈로 장식한 뒤 포즈를 취했다. /사진=뉴스1
민규는 세븐틴의 사회 나눔 활동을 소개했다. 데뷔 이듬해인 지난 2016년 처음 정산을 받아 데뷔 기념일에 맞춰 아프리카 탄자니아 어린이들을 위해 멤버들 이름의 염소 13마리를 기부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후 탄자니아 아이로부터 염소와 찍은 사진과 함께 편지를 받았다"며 "편지에 '꿈을 위해 염소를 잘 키울게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고 전했다.
그룹 세븐틴이 지난 14일(현지시각) 한국 가수 최초로, 유네스코 청년포럼에서 단독 스피치를 했다. /사진=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제공
조슈아는 세븐틴의 나눔을 글로벌 차원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영어로 "제3세계에 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학교를 짓고, 교육을 위한 토론의 장이 지속해서 운영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유네스코 앰배서더로 적극 활동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븐틴은 연대를 통한 서로 간의 배움 속에 꿈을 이루는 길이 있다는 걸 경험했다. 배움은 세븐틴이 그랬듯이 한 사람을 바꾸고, 그 사람의 꿈을 확장하며 나아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14일(현지시각) 세븐틴은 유네스코 프랑스 파리 본부에서 개최된 제13회 유네스코 청년포럼에서 약 1시간 정도의 연설과 공연을 진행했다. /사진=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제공
연설이 끝난 뒤 세븐틴은 대표곡 '월드'와 '달링', '음악의 신' 등 5곡의 무대를 선보였다. 세븐틴은 밝고 감성적인 멜로디로 감동을 선사하면서 이 자리에 선 이유를 음악적으로 증명했다. 특히 유네스코 관계자는 "유네스코본부 메인홀 객석이 꽉 찬 적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세븐틴의 연설과 무대를 향한 관객 반응이 믿기지 않는다"고 소감을 전했다.
세븐틴은 지난해 8월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교육 캠페인 고잉투게더(#Going together)를 진행했다. 자신들과 같은 청년이 교육변혁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해온 세븐틴이 이번 연설을 통해 K팝의 상징성과 그 영향력을 확실히 보여준 셈이다. 국제사회에서의 K팝의 영향력을 확고히 다진 세븐틴의 긍정적인 행보가 더욱 기대를 모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