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안전 진단 기술 표준이 정립될 전망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30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공단 세종검사소에 국토교통부와 함께 '친환경 첨단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전자장치와 배터리 상태, OTA를 통해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안전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 테스트베드가 마련됐다.
국내 전기차 검사기술을 적용하기 힘들었던 테슬라와 협업을 통해 KADIS(한국교통안전공단이 자동차전자장치 검사를 위해 독자 개발한 검사기기)를 활용, 배터리 포함 첨단전자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최근 OTA를 통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시행되는 SDV 차종이 늘어나는 만큼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한 안전 점검이 가능한 테스트베드도 마련했다. 공단은 테슬라 차종을 대상으로 OTA를 통해 각 ECU의 S/W 버전을 조회하고 배터리제어시스템(BMS) 포함 총 12개의 ECU 시스템을 진단하는 프로그램을 실차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공단은 이를 계기로 개발과정에서 구축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제기구와 함께 글로벌 표준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권용복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현재 소프트웨어 기반 자동차(SDV)는 연간 40만 대 이상 판매되고 있고 매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라며 "배터리 화재, 첨단장치 오작동, 해킹 등 새로운 유형의 위험에 선제 대응해 보다 안전한 모빌리티 운행 환경 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