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7.8% 늘어난 558억달러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 사진=뉴시스
지난달 한국의 수출이 전년대비 8% 가까이 증가하면서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무역수지 역시 6개월 연속 흑자를 지속했고 한국의 대표 효자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16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1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수출은 558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7.8% 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의 수출은 지난해 10월 마이너스로 전환한 뒤 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지속해왔지만 10월 플러스 전환에 성공한 뒤 지난달까지 2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총 12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며 올해 최대 수출 플러스 품목 수를 경신했다.

특히 한국의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2.9% 증가한 95억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8월 이후 16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석유화학(5.9%), 바이오헬스(18.8%), 이차전지(23.4%)의 수출도 각각 18개월, 17개월, 8개월 만에 상승했다. 자동차(21.5%), 일반기계(14.1%), 가전(14.1%), 선박(38.5%) 역시 수출 호조세를 지속했다.


지역별로 주요 9대 수출시장 중 6개 시장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미국 수출은 109억달러를 기록해 역대 최대 실적을 썼다. 미국 수출은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아세안 수출은 98억달러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유럽연합(EU) 수출도 55억달러를 달성하며 플러스로 전환했다.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인 대(對)중국 수출은 114억달러로 0.2% 줄었지만 올해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4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 실적을 이어갔다.

11월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11.6% 줄어든 520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이 수입을 상회하면서 무역수지는 3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9월(42억8000만달러) 이후 26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한국의 무역수지는 올해 6월 흑자로 돌아선 뒤 6개월째 흑자 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11월에는 2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6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 반도체 수출 플러스 전환 등 트리플 플러스를 달성하면서 수출 우상향 모멘텀이 더욱 확고해졌다"며 "이러한 수출 상승흐름이 연말을 지나 내년에도 이어져 우리 경제의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