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1일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를 열고 허영인 SPC그룹 회장과 이해욱 DL그룹 회장을 질타했다. 여야는 안전 강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고, 이 회장과 허 회장은 도의적 책임을 인정하며 고개를 숙였다. 사진은 허영인(왼쪽) SPC그룹 회장과 이해욱 DL그룹 회장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대화를 나누는 모습. /사진=뉴스1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청문회를 열고 잇딴 산재로 논란을 빚은 DL그룹 이해욱 회장과 SPC그룹 허영인 회장을 질타했다.
국회 환노위는 30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를 개최했다. 당초 이 회장과 허 회장은 올해 고용노동부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해외 출장을 사유로 불출석한 바 있다.

허 회장은 지난해 SPC그룹 계열사 SPL 경기 평택 제빵공장에서 끼임 사고로 노동자가 숨진 데 이어 지난 8월에도 샤니 경기 성남 공장에서 노동자가 사망한 사고와 관련해 이 회장은 지난 8월 부산 연제구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가 추락사한 것과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됐다.


이날 청문회에서 국민의힘은 여야 간 합의 없이 야당 단독으로 결정했다고 항의하며 불참했고 임이자 의원(국민의힘·경북 상주문경)만 간사 자격으로 참여했다.

먼저 의원들은 지난 국정감사에 해외 출장을 이유로 출석하지 않은 점을 추궁했다. 진성준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강서을)은 유럽 식품 박람회 참석과 MOU(양해각서) 체결로 불출석한 것에 대해 "허 회장은 MOU 체결 당사자가 아니고 MOU는 법적 책임이 없는 포괄적 양해각서에 불과하다"며 허 회장의 유럽 출장이 필수적이었는지 의문을 표했다.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도 "2년 연속 안타까운 국내 노동자의 생명을 잃게 만들었고 수백명 노동자들의 산재 사고를 유발하도록 방치하면서 해외 사업 확장에 따른 산재 예방 관리의 해외 안전 시스템 설비 구축을 완화할 이유로 (국감에) 불출석했다"며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모욕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또 진 의원은 SPC그룹 지난해 SPL 안전사고 발생 후 발표한 3년간 안전경영 1000억원 투자 계획을 따져 물었다. 그는 "예산 1000억 원이 통상적으로 기업 경영 개선을 위해서 또는 공장 설비 개선을 위해서 투입하는 예산이 아니고 그에 더해서 추가로 안전을 위해서만 투입하는 예산이냐"며 "계획돼 있는 투자계획을 다 긁어모아 안전 투자라고 포장했다는 강한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허 회장은 "(사용처는) 복합적으로 이뤄지며 대표이사들에게 물어보고 필요한 부분은 (자료를) 다시 내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안전 투자 1000억원과 관련해 집행 내역과 주요 계열사별 투자 사례 등을 그룹사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또 3개년 투자계획을 최대한 단축하겠다고 했는데 구체적인 계획이 전혀 없다"며 "안 하겠다는 것과 다름이 없다. 국정감사나 청문회 면피용 아니냐 이렇게 의구심을 갖고 질의를 드릴 수밖에 없다"고 꾸짖었다.

이어 여야는 SPC그룹의 2조 2교대 장시간 노동 개선 등 안전 조치 개선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전용기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노동자는 2교대를 개선하지 않으면 죽음의 사고가 또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데 노동자에게 힘을 실어주겠다고 약속해 줄 수 있냐"고 했다. 윤건영 의원도 "2조 2교대 문제로 장시간 노동에 의해 노동자들이 고통을 받고 있으면 이것을 해결하겠다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비판했다.

여당 간사 임 의원도 "근로환경 개선을 해 달라는 현장노조 의견을 보면 2교대 문제가 나온다"며 "얼마나 노조에서 조심스럽게 접근했느냐 하면 '3교대를 하고 싶어도 인원도 상당히 힘이 든다'는 지적도 해놨다. 회사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하는 근로자분들"이라고 지적했다.

허 회장과 이 회장은 향후 산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며 사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