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북한을 향해 "전원회의에서 '군사정치'가 아닌 '민생정치'로 정책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진은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북한인권 현인그룹 대화에 참석해 축사하는 김 장관의 모습. /사진=뉴스1
6일 뉴시스에 따르면 김 장관은 이날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12월 말 개최될 북한의 조선노동당 제8기 제9차 전원회의를 앞두고 통일부 장관으로서 분명히 이야기하고자 한다"며 "북한은 전원회의에서 군사 정치가 아닌 민생정치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장관은 "올 한해 북한 당국이 여러 어려움에 봉착했단 신호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며 "외교 거점인 재외공관 철수가 이어진 사실은 북한 외교의 난관과 재정적 한계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이 최근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 이후 감시초소(GP) 혹은 판문점 무장화 등을 통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건 이러한 내부적 어려움을 외부로 돌리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군사와 경제에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건 불가능하단 걸 직시하고 경제와 민생을 위해 과감히 결단을 내려야 한다"며 "상황을 오판해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을 계속 단절하는 악습을 둬선 안 된다"고 말했다.
최근 1년간 북한 관영매체에 김 총비서의 딸 김주애가 거듭 부각된 것에 대해선 "어려움 속 세습 의지를 과시하기 위해 다소 서두르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해군사령부, 공군사령부 방문 관련 보도 사진을 보면 사령관들이 김주애에게 거수경례를 한다며 "처음 등장한 이후 계속 의전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주애 세습 과정에서의 조기 등판이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