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 제약사들이 연구개발의 굵직한 성과를 보일 때 지난해부터 자금난에 빠진 바이오텍은 이렇다 할 결실을 맺지 못했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①'플랫폼 기술 장착' 바이오텍 1세대는 '내가 제일 잘 나가'
②25년 만에 첫 의약품, '중꺾마'로 재기 노리는 바이오텍
③언 발에 오줌이라도… 여전한 바이오 투자 한파
지난해 12월 김승언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제약:연구개발 투자의 성과를 내야 할 때'라는 산업 보고서를 냈다. 당시 김 연구원은 2023년 제약산업 전망에 대해 ▲사업환경 '중립' ▲실적방향 '유지' ▲등급전망 '중립적'이라는 모호한 의견을 제시했다. 2023년 제약산업의 매출 규모로 봤을 때 수익성엔 크게 변동이 없을 것으로 봤다. 인구 고령화와 의약품 수요 증가 등 제약 산업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는 것이다. 중립적인 평가의 배경에는 결국 제약산업의 본업인 연구개발 성과가 깔려 있었다.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비 투자를 확대하는 상황에서 개발 성과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년이 지난 현재 제약사들은 연구개발 성과 보따리를 풀었다. 유한양행은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를 앞세워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등극하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유한양행이 2018년 렉라자를 글로벌 제약사 얀센에 기술수출했다. 얀센은 지난 11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성공적인 렉라자와 아미반타맙의 병용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 종근당은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에 신약 후보물질 CKD-510을 총액 13억500만달러(1조7302억원)에 기술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2023년 제약바이오 업계의 기술수출 대미를 장식했다. 기술수출 총액 기준으로 국내 업계에서 역대 두 번째 규모이며 계약이 해지되더라도 반환할 필요가 없는 계약금은 8000만달러(1061억원)로 책정됐다.
━
아쉬운 바이오텍의 성과━
전통의 제약사들이 연구개발의 굵직한 성과를 보일 때 지난해부터 자금난에 빠진 바이오텍은 이렇다 할 결실을 맺지 못했다. 신약 개발 성과는 사실상 전무했다. 기술수출을 통해 수익을 내고 있는 극소수의 바이오텍을 제외하면 자금난은 악화했다.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올 3분기까지 의료·바이오분야에 이뤄진 신규 벤처투자 규모는 62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7% 감소했다. 2021년(1조2032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가까이 감소한 수준이다. 바이오 기업의 기업공개(IPO) 실적이 부진하면서 신규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일부 벤처기업 투자 전문업체는 올해 바이오벤처에 단 한 건의 투자도 하지 않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바이오 기업의 기업공개(IPO) 실적이 부진하면서 신규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더욱이 경영권 이전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는 분위기다. 파멥신은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 실패 후 최대주주가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지난 6월 파멥신다이아를 상대로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추진했던 파멥신은 증자 대상이 유콘파트너스로 바뀌었다. 이후 유상증자 납입 기일이 7월26일에서 8월7일로, 다시 9월14일로 차일피일 미뤄지더니 급기야 유상증자 계약이 취소됐다. 증자 대금의 입금이 이뤄지지 않아서다. 최대주주이자 창업자인 유진산 파멥신 대표는 최대주주 지위를 잃었다. 유상증자와 함께 자신의 지분 5.45%를 계약금만 받고 유콘파트너스에 넘겼으나 유콘파트너스가 이 지분을 활용해 대출을 받은 것이 화근이었다. 떨어지는 주가에 유콘파트너스가 넘겨받은 지분 전체에 대한 반대매매가 이뤄진 것이다.
헬릭스미스는 지난 2월7일 카나리아바이오엠으로부터 받기로 한 100억원 규모 유상증자 대금이 2024년 4월25일로 미뤄졌다. 납입 예정일은 4월28일에서 6월30일, 8월31일, 10월10일로 이미 네 차례나 연기된 뒤 또 다시 미뤄졌다.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을 때만 해도 1만2000원대였던 헬릭스미스 주가(종가기준)는 12월5일 5480원으로 반토막 났다.
━
K-바이오 백신 펀드, 투자 한파 녹일까━
보건복지부(복지부)는 내년부터 K-바이오·백신 1호와 2호 펀드를 통해 4년간 바이오헬스 분야에 2500억원 이상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업계는 투자 한파를 녹일 수 있을 지 정부발 펀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바이오 펀드가 마중물이 돼 민간 투자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도 하고 있다.K-바이오·백신 펀드 운용사인 유안타인베스트먼트와 프리미어 파트너스는 우선 결성액으로 마련된 각각 1500억원, 1116억3000만원을 내년 초부터 투자한다. 복지부는 제약·바이오 투자 시장 위축 등을 고려해 총 결성액(2616억원)의 최대 40%(1000억원)를 내년도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주요 투자 대상은 혁신신약 임상 2~3상 단계와 백신 플랫폼 기술 등이다. 이외에 민간 펀드 운용사 2곳(인터베스트, 한국투자파트너스)도 바이오헬스 투자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 헬스 펀드들의 적극적인 투자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에도 추가적인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을 통해 민간 투자를 견인하는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