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기업의 PB(자체브랜드)상품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11.8% 성장했다. 이마트에 자체브랜드인 노브랜드 제품이 진열된 모습. /사진=김문수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닐슨아이큐(NIQ)가 조사한 '유통업체 자체브랜드 상품 매출' 분석 결과 최근 1년간(2022년 4분기~지난해 3분기) 국내 자체브랜드 상품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11.8% 성장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국 6500개 오프라인 소매점 매출을 분석한 내용이다.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소비재 시장이 같은 기간 1.9% 성장에 그친 것에 비해 약 6배 높다.
PB는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협력해 생산한 뒤 내놓은 상품으로 이마트 노브랜드, 롯데 온리프라이스, GS25 유어스 등이 있다.
지난해 비식품 부문 시장 성장률은 7.4%인데 반해 식품은 12.4% 성장률을 기록했다. PB상품 성장률. /자료=대한상의
자체브랜드 시장 성장세는 비식품보다 식품 부문에서 더 두드러졌다. 지난해 비식품 부문 시장 성장률은 7.4%인데 반해 식품은 12.4%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 대비 자체브랜드 비중이 가장 높은 오프라인 업태는 대형마트(8.7%)였다. 이어 기업형 슈퍼마켓 5.3%, 편의점 4.1%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 부문의 자체브랜드 매출 성장률을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편의가공이 전년대비 19.1%로 가장 많이 성장했다. 이어 제과(16.6%), 신선가공 식품(13.6%) 순이다.
비식품 부문은 구강용품(25.7%)이 성장률이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퍼스널케어(21.5%), 바디케어(20.2%), 제지류(11.6%) 등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양한 PB상품이 연이어 출시되면서 브랜드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구매주기가 짧은 카테고리 위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비식품 전체 매출에서 PB상품 점유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주방용품(8.8%)이었으며 제지류(8.7%), 비식품기타(7.4%), 가정용품(4.2%), 청소용품(3.1%) 순이었다.
국내 전체 소비재 시장에서 자체브랜드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로 식품과 비식품이 각각 3.9%, 4.6%인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