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본사 1층에 위치한 착오송금 반환지원 상담센터./사진=머니S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앱) 내 계좌정보 목록, 자주 사용되는 금액 버튼 등 기능을 활용하면 착오송금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21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예보에 접수된 되찾기 서비스 신청내역을 보면 착오송금은 '계좌번호 입력 실수(62.4%)'와 '계좌목록에서 잘못 선택(31.9%)' 등이 주 원인이었다.
예보는 착오송금의 60% 이상이 모바일 송금시 발생하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주요 10개 금융회사(8개 은행과 2개 간편송금회사)의 모바일뱅킹 앱이 이체과정의 실수를 줄이기 위해 구축하고 있는 기능들을 조사했다.
착오송금 시 이체 수단 중 모바일 비중은 2021년 61.9%에서 2022년 63.7%, 2023년 66.3%로 매년 상승하고 있다.
예보 관계자는 "금융계약자들이 모바일을 통한 이체시 착오송금을 예방할 수 있도록 관련 유용한 기능들을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표=예금보험공사
다만 계좌정보 목록에서 다른 계좌를 선택하는 사례도 많은 점을 감안해 목록은 반드시 주기적으로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하며 목록에서 정확하게 선택해야 한다.
특히 금액을 잘못 입력한 착오송금 중 0을 추가로 더 입력한 사례가 51.2%에 달했다.
모바일뱅킹 앱에 1만원·10만원·100만원 등 금액 버튼 기능이 대부분 구축돼 있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착오송금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모든 금융회사는 입력한 계좌번호의 예금주명와 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시하고 있다. 3초의 여유를 갖고 이체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금융회사는 이체 직전, 마지막으로 계좌번호를 포함해 예금주명, 금액 등 전체 이체정보의 일치여부를 재확인하도록 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 제3자 또는 동명이인의 계좌번호는 아닌지 착오송금 방지를 위해 이체정보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금융회사들은 고객의 송금 이력을 확인해 6개월, 2년 등 일정 기간내에 송금 이력이 없는 계좌 또는 같은 날 동일인에게 동일 금액 송금 이력이 있어 중복 이체 가능성이 있는 송금 등에 대해서 팝업창으로 안내하고 있다.
습관적으로 '확인'을 누르지 않고 팝업 경고창은 반드시 읽어본 후 '확인'을 누르는 것이 착오송금 방지에 효과적이다.
예보 관계자는 "모바일뱅킹 앱의 기능들을 잘 활용하면 착오송금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평소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금융회사 앱의 기능들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 금융회사 등이 착오송금 예방을 위해 필요한 항목이 구축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확인과 개선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