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가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저축은행중앙회는 전국 79개 저축은행이 올해 1분기 154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전년 동기(527억원 손실)보다 손실 규모가 1016억원 확대됐지만 직전 분기(4155억원 손실)보다는 줄었다.
이 기간 이자이익은 총 1조408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조3913억원)보다 175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2292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966억원)보다 1326억원 증가했다.
연체율은 8.8%로 지난해 말(6.55%)보다 2.25%포인트 뛰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1.00%, 가계대출은 연체율은 5.25%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각각 3.52%포인트, 0.24%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경기회복 둔화 및 경기침체 등으로 인한 거래자의 채무상환능력 저하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하고 있다"면서 "연체율 산정시 모수가 되는 여신 감소(분모)도 연체율 상승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10.32%로, 지난해 말(7.73%)보다 2.59%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전반적으로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으나 대손충당금 적립률과 손실흡수능력을 감안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총자산은 122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26조6000억원)보다 3조9000억원(3.1%) 줄었다. 여신(101조3000억원)은 보수적인 여신 취급, 매·상각 등 위험 관리 강화 기조로 인해 3개월 새 2조7000억원(2.6%) 감소했다. 수신(103조7000억원) 역시 지난해 말(107조1000억원) 보다 3조4000억원(3.2%) 감소했다.
저축은행의 자기자본은 14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4조7000억원)보다 2000억원 줄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약 540억원 규모의 증자를 실시했으나 당기순손실 발생 영향으로 자기자본 규모는 소폭 줄었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전년 말(14.35%)보다 0.34%포인트 오른 14.69%를 기록했다. 유동성비율은 227.27%,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12.99%로 집계됐다. 모두 법정 기준인 100%를 웃돌았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침체 지속, 경기회복 둔화 및 기준금리 인하 지연 등 거시경제 여건이 업계 경영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당기순손실 발생 및 건전성지표의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2022년 하반기부터 지속해 온 위험자산 축소,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이익금 내부유보 및 증자 등 선제적 대응을 통해 경영 안정성은 이상이 없다"고 덧붙였다.
또한 "물가안정을 위한 통화긴축 기조 지속, 부동산시장 회복지연 등 어려운 영업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에 따라 향후 저축은행의 경영전략은 수익성 개선 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보다 초점을 맞춰 대응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