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통신비 부담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가운데 실상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
날이 갈수록 비싸지는 단말기… 통신요금 부담 가중━
삼성전자 '갤럭시S24플러스' 사파이어 블루. /사진=삼성전자
통신서비스 부담이 예전보다 줄었지만 체감하기 어려운 이유다. 매년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면서 날이 갈수록 단말기 구매 비용은 높아지고 있다.
LG전자가 단말기 사업에서 철수한 이후 국내 제조사 시장은 삼성전자 갤럭시와 애플 아이폰이 양분하는 과점 상태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연달아 선보이면서 출고가 100만원을 훌쩍 넘겼다. 신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국내 소비자들 특성상 단말기 비용 부담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 클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과점 구조는 견고하다. 삼성전자와 애플 외에 샤오미, 낫싱, 모토로라 등 외국 업체들이 한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이들의 시장 점유율은 1%대다.
소비자들은 노트북과 맞먹을 정도인 스마트폰을 자급제로 사길 포기하는 대신 고가요금제에 가입해 단말기 부담을 낮추고 있다. 상위요금제를 쓰면 단말기 구입비를 지원해주는 공시지원금을 최대로 받을 수 있다. 최신형 휴대폰을 갖기 위해 비싼 요금제를 사용하게 되는 구조다.
━
통신 3사 요금제 인하 노력 체감 안 돼━
통신 3사 관련 이미지. /사진=그래픽=이강준 기자
지금보다 가성비(가격 대비 효용) 좋은 요금제를 내놓기는 어려운 실정까지 도달했다. 일반 소비자는 요금제가 소폭 할인되면 이를 인지하지 못하지만 통신사의 경우 수 천억원에 달하는 이익이 한순간에 사라진다. 거듭된 요금제 인하 요구에도 통신 3사가 저가 요금제 출시에 소극적으로 바뀐 이유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과거 기본 요금제를 일괄적으로 1000원 내리라는 정치권의 요구가 있었다"며 "그럼에도 '달랑 1000원 내렸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들이 소액으로 보더라도 통신사에겐 매출 수 천억원을 포기하는 것"이라며 "날이 갈수록 부담이 커지면서 앞으로 저렴한 요금제를 내놓을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했다.
통신 3사는 허탈하다. 상당한 출혈을 감수해왔지만 값비싼 프리미엄 단말기 탓에 전체 통신비 지출은 줄지 않아 체감하는 고객들이 많지 않아서다.
통신 3사의 저가 요금제 출시가 마냥 좋은 것도 아니다. 그동안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통신 시장의 한 축을 담당해온 알뜰폰 업체들의 존립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고객서비스 차원에서 월등한 통신 3사 요금제가 가격마저 저렴하다면 알뜰폰 요금제를 찾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고가단말기 선호 현상이 완화되지 않는 한 통신비 부담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또 다른 통신업계 관계자는 "한국 통신비가 세계적으로 보면 높은 것은 아니다"며 "하지만 고가단말기 구입비가 많이 들어 전체 통신비가 낮아질 수 없다"고 말했다. "현재 같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가 이어진다면 통신요금만 내리는 게 상책은 아니다"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