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해외 제품 직접 구매 금지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KC 인증 신뢰도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과거 가습기살균제 사건 등 KC 인증을 받았음에도 유해 제품으로 드러난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과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들이 지난 2월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1
정부는 지난달 16일 유모차·완구 등 80개 품목에 대해 KC 인증이 없는 해외 제품 직구 금지 방안을 내놨다가 사흘 만인 지난달 19일 사실상 철회했다.
직구 금지 조치로 관심의 대상이 된 KC 인증의 신뢰성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가습기 살균제를 비롯해 아이들이 갖고 노는 슬라임과 찰흙 점토 등 KC 인증을 받은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돼 사회적 공분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국가기술표준원 제품 안전 정보센터를 살펴본 결과 올해 1월부터 이번 달까지 리콜을 실시한 품목은 모두 59개였다. 이 가운데 KC 인증을 받은 제품은 44개였다.
59개의 제품을 조사해보니 어린이용 제품이 대부분이었다. KC 인증을 받은 중국산 필통은 납 기준치를 4.0배 초과했다. 납에 노출될 경우 피부염·각막염·중추신경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KC 인증을 받은 중국산 공책에선 카드뮴이 기준치 7배를 초과하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기준치 157.3배를 넘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리콜 제품을 보유한 소비자에게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문의처에 연락·방문 등을 통해 수리·교환·환불 등 조치를 받기를 권고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KC 인증만으로는 안전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김 교수는 "KC 인증을 받은 제품 중 대표적 실패작은 가습기 살균제다. 국민 약 10%가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고 2000명이 사망했다. KC 인증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KC 인증을 위해 정부가 제품을 직접 실험하지 않은 채 기업이 제출한 실험 결과를 그대로 신뢰한다. KC 인증은 엉터리고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한국이 KC 인증 대신 미국 등이 따르는 세계적 기준치를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해 물질 기준치 이하로 만들어야만 수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세계적 표준을 따르는 게 가장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