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HMM·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 "불가능한 약속 안 한다"
이재명, 부산 유세서 '산은 이전' 신중론
북극항로 대비 '해양수도 부산' 공약도
부산=김성아 기자
공유하기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부산을 찾아 "실현 불가능한 약속은 하지 않겠다"며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대신 해양수산부와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의 부산 이전, 북극항로 거점 도시 육성 등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해양 공약'을 제시하며 '해양수도 부산'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14일 오전 부산 유엔기념공원을 참배한 뒤 열린 거리 유세에서 "부산 시민들이 산업은행 이전을 바라는 마음은 알지만, 그것이 그렇게 쉬운 일이었다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왜 3년 동안 말만 하고 아무것도 못 했겠느냐"며 "국가기관을 여기저기 찢어놓으면 업무 효율이 떨어진다. 회의와 보고가 필요한 기관은 분산시켜선 안 된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에 대해 현실적인 한계를 짚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것이다.
그러면서도 부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겠다며 국가기관 유치를 제안했다. 그는 "예외적으로 해양수산부만큼은 부산으로 이전시키겠다. 업무 대부분이 해양 수산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HMM 본사의 부산 이전도 추진하겠다고 공언했다. 이 후보는 "조선 산업은 워낙 잘 돼 있으나 조금 더 지원·조정하면 된다"며 "가장 큰 해운회사가 HMM이라고 한다. 그 회사도 부산으로 옮기겠다"고 말했다. 이는 부산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된 HMM 본사 유치 요구에 화답한 것으로 보인다. HMM은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지만 본사는 서울 여의도에 있어 부산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날 현장에는 HMM 노조위원장과 한국해양대 학생 등이 참여해 관련 정책 공약을 함께 발표하는 행사도 열렸다. 주요 내용은 ▲해양수도 부산 실현을 위한 해운·항만 거점화 추진 ▲해수부 및 관련 공공기관의 단계적 부산 이전 ▲부산 해사법원 신설 추진 ▲청년 해양인재 육성 및 지역 정착 여건 조성 등이다.
이 후보는 이어 "물론 민간 회사라 쉽지는 않지만 정부 출자 지분이 있기 때문에 마음먹으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 회사를 옮기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은 그 회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인데 일단 그 직원들이 동의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HMM은 산업은행(36.02%)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67%)가 공동 관리하고 있으며 두 기관의 지분을 합치면 71.69%에 달한다.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과 민간기업의 부산 유치를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부산을 명실상부한 해양수도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2030년이면 북극항로가 활성화될 것"이라며 "10년 후인 2035년은 순식간에 온다. 북극 항로에 대한 지배권과 영향력이 엄청나게 중요하기 때문에 인프라도 구축해야 하고 앞뒤 연관 산업들도 함께 발굴해서 발전시켜 놔야 한다. 지금부터 준비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치게 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후보는 "정치는 백년지대계를 준비하는 일"이라며 "당장 눈앞의 득표를 위해 불가능한 약속으로 시민을 속이지 않겠다. 실현 가능한 변화로 부산의 미래를 열겠다"고 유세를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부산=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