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안전연구원 내 충돌 테스트 시설에서 전기차 안전 평가가 진행됐다. 전기차는 고전압 배터리 전원이 차단되는지를 먼저 체크해야 한다. /사진=박찬규 기자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교통사고에 의한 손실을 줄이고 소비자 보호에 의한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 산하 연구원으로 1987년 설립됐다.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는 국내 유일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건설기계의 안전 결함을 밝혀내는 제작결함 조사업무도 수행한다. 자동차 제조사의 자발적 리콜 외 건은 연구원 조사가 바탕이 된다.
자율주행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2018년 경기도 화성 연구소 부지에 자율주행실험도시를 표방한 K-시티(city)를 구축했고 꾸준히 업그레이드 중이다. 2022년엔 광주에 친환경차 인증센터를 통해 배터리 안전을 연구 중이며, 2023년부터는 전기차 배터리 충격 테스트를 비롯해 평가 항목을 추가하며 글로벌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
미래 모빌리티 안전, 까다로운 시험평가로 챙긴다━
배터리시험실에서 배터리 낙하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자동차안전연구원
대표적인 테스트는 4.9m 높이에서 배터리를 떨어뜨린 뒤 화재 발생 여부를 살피는 것이다. 이는 전기차가 주행하며 과속방지턱으로 인해 하부에 충격을 받거나 배수로에 차 바퀴가 빠지는 상황을 가정한다.
전기차 충돌 안전 평가도 진행한다. 정면충돌, 부분정면충돌, 측면충돌, 기동측면충돌, 대형승합차 전복(차량이 뒤집어진 상태), 정적(정지상태) 전복 등 다양한 사고를 가정한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이 같은 테스트를 통해 신차안전도평가(KNCAP)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지난해 연구원은 정차한 전기차를 시속 48km로 후방 충돌하는 테스트를 공개한 바 있다. 테스트를 통해 배터리 파손 여부나 절연저항 상태를 확인한다. 만약 사고 후에도 절연 상태에 문제가 있다면 구조자가 감전되는 등 2차 위험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사진=자동차안전연구원
'자기인증 적합조사'도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이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인 '자기인증제도'를 보완하는 것이다. 자기인증제도는 제작사의 자율성을 높이면서 인증에 필요한 시간 등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인이 결함을 밝히기 어려운 만큼 기관이 직접 이를 검증하고 있다.
전자파 적합성 시험실 내부 /사진=자동차안전연구원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소비자 신고에 대한 현장·결함조사 이행 강화로 리콜 및 무상수리를 유도한 건 2023년 36건에서 올해 45건으로 늘었으며 자기인증적합조사 전기차도 지난해 5종에서 올해 9차종으로 확대했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직원 230여명 중 60% 이상 인력이 연구교수직이다. 이들은 자율주행차 상용화 연구 및 지원을 비롯해 미래형자동차 안전기술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엄성복 자동차안전연구원장은 "자기인증적합조사는 물론 자율주행장치와 배터리 화재 등 자동차 결함에 대한 사고조사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신속한 결함조사를 시행해 전기차 등 첨단 미래형 자동차도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