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단지와 달리 대단지 입주 물량이 줄어 희소성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올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입주 물량이 지난해 대비 약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00가구 미만의 중·소단지의 입주 물량은 17.8% 증가해 대단지와 대비를 이뤘다.
3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입주 가구수(예정 포함)는 지난해(15만7034가구)보다 8.6%(1만3552가구) 줄어든 14만3482가구다. 단지수로 봐도 지난해 91개 단지에서 올해 84개 단지로 줄었다.

대단지와 달리 1000가구 미만 중·소단지의 입주 물량은 17만8247가구로 지난해(15만1273가구)보다 17.8%(2만6974가구) 증가했고 단지 수로 보면 368개에서 427개 단지로 늘었다.


입주 물량을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올해 수도권에서 대단지 입주 물량은 지난해 대비 22.1%가 감소한 반면 중·소단지는 19.3% 증가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은 대단지가 15.5% 증가, 중·소단지도 16.9% 늘었다. 수도권의 경우 대단지가 들어설 만 한 사업부지 확보가 지방보다 어렵기 때문에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에는 전체적인 입주 물량 감소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1000가구 미만 중소 단지의 입주 예정 가구수는 13만3664가구로 올해 대비 25%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대단지는 이보다 더 많은 물량 감소가 예고됐다. 내년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입주 예정 물량은 9만6634가구로 올해(14만3482가구) 대비 32.7% 줄어든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3년 동안 부동산 침체기가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사업 규모가 큰 대단지 공급이 줄었다"며 "최근 시장 분위기가 살아났더라도 앞으로 몇 년은 대단지 아파트의 공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품귀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