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와 대출 규제 영향으로 아파트 경매가 증가하면서 지난달 기준 경매시장에 나온 매물이 3년11개월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8일 서울 강남구·서초구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스1
12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의 '10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3493건으로 전월 대비 19.1% 증가했다. 이는 2020년 11월 이후 3년11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수도권의 경매 건수가 급증했다. 서울의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380건으로 2015년 4월(401건) 이후 가장 많았고 경기도는 809건으로 2014년 12월(845건) 이후 약 10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금리로 이자 부담을 이기지 못한 매물이 대거 쏟아진 데다 대출 규제로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매물이 쌓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국 낙찰률은 40.0%로 전월보다 3.3%포인트 상승했으나 서울 낙찰률은 41.3%로 전월보다 4.3%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서울의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97.0%로 전월(94.3%)보다 2.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22년 6월(110.0%) 이후 2년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당분간 경매 물건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 속에 실제 집합건물의 임의경매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는 3만9059건으로 2022년(2만4101건)에 비해 62% 급증했다. 올 들어 7월까지 3만371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만1497건) 대비 52.8% 증가했다.
임의경매는 금융회사가 석 달 이상 원리금 상환을 연체하면 법적 절차 없이 바로 주택을 경매에 넘길 수 있다.
경매시장에서는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등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에 주택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강남·용산 등 상급지를 제외한 지역의 경매 물건이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